배터리 업체 가동률 '뒷걸음질'
LG엔솔·SK온, 3분기 하락전기차 수요 둔화로 생산량 조절국내 배터리업계 1·2위인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의 지난 3분기 공장 가동률이 일제히 뚝 떨어졌다. LG에너지솔루션의 글로벌 사업장 평균 가동률은 올 들어 3분기까지 내리 하락했고 SK온 가동률도 반년 만에 뒷걸음질 쳤다. 공격적인 투자로 생산 역량 확장에 힘써온 배터리 업체들이 전기차 수요 둔화로 재고가 쌓이자 생산량 조절에 나선 것이다. 완성차 업체의 전기차 생산·투자 속도 조절이 본격화하면서 배터리업계의 가동률 하락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15일 각사의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의 올 3분기 누적 가동률은 72.9%로 전년 동기(75.4%)보다 2.5%포인트 하락했다. 1분기 77.7%로 정점을 찍은 뒤 꾸준히 떨어졌다. 이는 전기차용 중대형 전지와 소형 전지의 가동률을 합산한 수치다. 전기차 배터리만 생산하는 SK온의 가동률 역시 2분기 95.4%에서 3분기 94.9%로, 올 들어 처음으로 하락했다.올해 공장 가동률이 하락한 것은 전기차 수요가 둔화했기 때문이다.폭스바겐,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등 거의 모든 주요 완성차 업체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LG에너지솔루션은 유럽·미국 시장의 전기차 재고가 쌓이자 덩달아 배터리 생산 조정에 나섰다. "K배터리 생산 조절…내실 다질 기회"완성차 잇단 전기차 생산 연기…"외형확장 대신 기술개발 집중"LG에너지솔루션은 올 하반기 전후로 세계 최대 배터리 생산 시설인 폴란드 공장의 가동률을 낮추기 시작했다. 전기차 감산에 나선 폭스바겐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서다. 자동차 시장조사업체 마크라인에 따르면 2년 전만 해도 월 1000대 안팎이었던 폭스바겐의 전기차 ID 시리즈 재고는 올 들어 9월까지 월평균 4000대로 급증했다. 회사 관계자는 “수요처의 상황에 맞춰 탄력적으로 조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전기차 판매가 상대적으로 견조한 미국 시장에서도 경고등이 켜졌다. 자동차 데이터 회사인 클라우드시어리에 따르면 미국 자동차 딜러의 평균 전기차 재고량은 올 초 36일치에서 9월 80일치로 급증했다. 제너럴모터스(GM)·포드 등은 올해 출시할 예정이었던 전기차 신차 생산을 연기하고 신규 투자도 줄이기로 했다.그 여파로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은 최근 미국 내 공장 인력 구조조정과 감산에 들어갔다. 중대형전지 가동률을 공개하지 않는 삼성SDI는 올해 가동률이 전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SDI 관계자는 “고객사의 재고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원자재 가격 급락으로 배터리 판가가 떨어지면서 완성차 업체들이 배터리 구매를 늦추고 있는 점도 배터리 업체들이 생산량 조절에 들어간 요인이다.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리튬·니켈 등의 가격이 떨어지면서 배터리셀 가격 추가 하락을 기다리는 완성차 업체들이 주문량을 조절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h당 152.5달러였던 배터리팩 가격이 내년 120.4달러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K배터리’ 3사는 이번 숨 고르기 국면을 핵심 소재 내재화, 신규 기술 개발 등 내실을 기할 기회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삼성SDI는 자회사인 에스티엠을 통해 울산 공장 양극재 내재화율을 높이기로 했다. 에스티엠은 지난 14일 양극재 생산라인 신설에 4125억원을 투자한다고 공시했다.업계 관계자는 “삼성SDI가 에코프로비엠 의존도를 낮추고 자체 생산 비중 높이기에 나선 것”이라고 분석했다. SK온은 15일 독일 바스프와 포괄적 업무협약을 맺고 양극재 생산, 폐배터리 재활용 등 밸류체인 전반에서 공급망을 강화하기로 했다.빈난새/배성수 기자 binthere@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3/11/15
중대재해 발생, '건설분야' '중소기업'에서 가장 많았다
고용노동부는 29일 중대재해가 발생하는 등 산업재해 예방조치 의무 위반한 1243개 사업장 명단을 공표했다. 주요 공표 분야에서 건설업 사업장이 다수를 차지했고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의 비중도 높아 눈길을 끌었다. 이번 공표대상은 중대재해 발생 등으로 산업안전감독관이 수사·송치해 법원에서 형이 확정된 사업장, 산재 은폐나 미보고로 과태료가 부과된 사업장, 중대산업사고 발생 사업장 등이다. 먼저 중대재해(사망자1명이상, 3개월이상 부상자 동시 2명 이상,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 동시 10명 이상) 발생 사업장은 576개소가 공표됐다. 지난해에 비해 95개소가 감소한 수치다. 576개소 중 절반 이상이 건설업(339개소, 58.9%) 분야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사업장은 14.2%로 그 뒤를 이었다. 주요 기업으로는 건설업에서 GS건설, 롯데건설, 동부건설, 삼성물산 등이 포함돼 있었고, 제조업에서는 금호타이어, 효성중공업 등이 이름을 올렸다. 기업 규모로 보면 50인 미만 사업장이 484개소(84%)로 압도적 비중을 차지했다. 50인 미만 사업장은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이 2024년까지 유예된다. 중대 사망재해가 1년간 2명 이상 발생 사업장은 17개소였다. 한화, 대림종합건설,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이 이름을 올렸다. 이 중 12개소(70.6%)는 건설업 사업장이었고, 50인 미만 사업장도 8개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산재은폐 및 미보고 사업장도 각각 23개소와 59개소로 나타났다. 은폐의 경우 동남정밀, 에스티엠, 동우테크 등이 이름을 올렸고 산재발생 후 1개월 이내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신고하지 않아 과태료 처분을 받은 사업장은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한국지엠 창원공장 등이었다. 화재, 폭발 등 중대산업사고가 발생한 공표대상 사업장도 11개소였다. 안경덕 장관은 "내년 1월 중대재해법 시행을 앞두고 안전보건관리 체계를 점검한 것"이라며 "안전문화가 현장에 정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한 대형로펌 변호사는 "사업 구조 상 재해 발생에 취약한 건설업, 체계적인 대비가 어려운 소규모 기업이 중대재해법 상 처벌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를 재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관련기사24세 서울대 학생이 차린 문방구…2030 반했다[속보] "좋다 말았네"…3일 만에 다시 '7만전자'로"7억씩 줄때 나가자"…은행원들 줄줄이 짐 쌌다"이만한 직업이 없다"…공무원 경쟁률 '어마어마'"질렸다"…동학개미 엿새간 8조원 팔아치웠다ⓒ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