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기업소개
1970년 01월 20일 설립
업력56년차
기업형태
일반법인, 대기업, 주식회사
사원수
12,885명
매출액 (2023년)
19조 7,990억 5,621만원
대표자 명
최윤호
홈페이지
기업주소
경기 용인시 기흥구 공세로 150-20
주요사업내용
2차전지,전자재료 제조,판매
계열사
삼성 계열사 (60개 사)
에스코어(주) 에스디플렉스(주) 삼성물산(주) 삼성전자판매(주) 삼성벤처투자(주) 삼성생명서비스손해사정(주) (주)삼성글로벌리서치 (주)제일기획 (주)에스원 삼성에스디에스(주) 삼성증권(주) (주)미래로시스템 에이치디씨신라면세점(주) 오픈핸즈(주) (주)시큐아이 (주)서울레이크사이드 삼성생명보험(주) 삼성화재해상보험(주) 삼성자산운용(주) 삼성카드(주) 삼성이앤에이(주) 삼성바이오로직스(주) 세메스(주) 삼성선물(주) 삼성전기(주) 스테코(주) 삼성화재서비스손해사정(주) (주)휴먼티에스에스 에스원씨알엠(주) 에스티엠(주) 에스유머티리얼스(주) 제일패션리테일(주) 삼성바이오에피스(주) 삼성디스플레이(주) 삼성에스알에이자산운용(주) 삼성전자서비스씨에스(주) 삼성웰스토리(주) (주)하만인터내셔널코리아 에스비티엠(주) 삼성중공업(주) 삼성SDI(주) 삼성전자(주) 삼성전자서비스(주) 삼성화재애니카손해사정(주) 삼성코닝어드밴스드글라스(유) 삼성전자로지텍(주) (주)호텔신라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주)멀티캠퍼스 삼성카드고객서비스(주) 삼성헤지자산운용(주) (주)삼성라이온즈 (주)씨브이네트 삼성메디슨(주) (주)삼성생명금융서비스 삼성액티브자산운용(주) (주)삼성화재금융서비스보험대리점 신라에이치엠(주) 수원삼성축구단(주) (주)미라콤아이앤씨
연혁
2024 04
동남아(싱가포르) 판매법인 신규 설립
2023 12
제60회 무역의 날 60억불 수출의탑 수상
2023 10
현대자동차와 배터리 공급 계약 체결
2023 09
국내 전(全) 사업장 '폐기물 매립 제로' 최고 등급(플래티넘) 획득
2023 07
스텔란티스와 설립한 합작법인 StarPlus Energy 의 2공장 건설을 위한 MOU 체결
2022 07
말레이법인 배터리 2공장 기공식
2022 05
스텔란티스와 북미지역 전기차 배터리 셀ㆍ모듈 합작법인(Joint Venture) 설립 계약 체결
2021 11
청주사업장 '대한민국 안전대상' 대통령상 수상
2021 10
스텔란티스와 북미 지역 전기차 배터리 셀ㆍ모듈 합작법인 설립MOU 체결
2021 10
합작사 에코프로이엠 양극재 공장 준공식
2021 03
BMWㆍ볼보ㆍ구글과 '심해저 광물 채굴 방지 이니셔티브' 참여
2020 12
제57회 무역의날 30억불 수출의탑 수상
2020 11
합작사 에코프로이엠 양극재 공장 착공식
2020 02
에코프로비엠과 양극재 생산전문 합작법인 '에코프로이엠' 설립 계약 체결
2019 11
독일 BMW와 차세대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 계약 체결
2019 09
유럽 배터리 시스템 제조회사인 아카솔과 배터리 공급 계약 체결
2019 07
롯데첨단소재 주식회사(구 에스디아이케미칼) 잔여 지분 10% 롯데케미칼(주)에 매각
2019 07
볼보그룹과 차세대 e-모빌리티를 위한 MOU 체결
2019 04
인도법인 설립
2017 05
헝가리법인 전기차 배터리 생산공장 준공
2017 03
대표이사 변경 : 조남성 -> 전영현
2016 08
헝가리 정부와 전기차 배터리 생산공장 설립 MOU 체결
2016 07
중국 합비법인 ESS 모듈·팩 생산공장 준공
2016 06
천안사업장 '녹색기업 대상' 대상 수상
2016 05
울산시와 전지 ·소재 복합단지 개발 MOU 체결
2016 04
에스디아이케미칼(주) 지분 90% 롯데케미칼(주)에 매각
2016 02
케미칼 사업부문 물적 분할, 자회사 '에스디아이케미칼(주)' 설립
2015 10
중국 시안법인 전기차 배터리 생산공장 준공
2015 09
중국 우시법인 편광필름 생산공장 준공
2015 08
독일 AUDI사와 전기차 공동개발 MOU 체결
2015 07
미국 Duke사와 36MW ESS 공급 계약 체결
2015 03
스위스 ABB사와 마이크로그리드용 ESS 공동 개발 및 판매 MOU 체결
2015 02
마그나 배터리 사업부문(Magna Steyr Battery Systems GmbH & Co OG) 인수
2014 11
2014 동반성장주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수상
2014 11
중국 선그로우사와 ESS 합자사 설립 계약 체결
2014 10
미국 GCN사와 25MWh 상업용 ESS 공급 계약 체결
2014 07
독일 BMW사와 전기차 배터리 공급 MOU 체결
2014 07
제일모직주식회사(소재부문) 흡수합병
2014 05
2014년 프로스트&설리번 어워즈 '올해 최고의 ESS 기업상' 수상
2013 09
제 37회 국가 생산성대회 대통령 표창 수상
2013 01
SB리모티브주식회사 흡수합병
2012 10
SB리모티브의 Bosch 社 지분 전량인수
2012 09
국내최초 9년 연속 DJSI 회원사 선정
2012 08
삼성SDI 중국판매법인 설립
2012 02
삼성SDI 일본법인 설립
2011 11
SB리모티브, Mahindra&Mahindra 전기자동차 用 배터리 공급
2011 09
삼성SDI 유럽 법인 설립
2011 09
국내최초 8년 연속 DJSI World index 선정
2011 07
삼성전자의 태양전지사업 영업양수
2011 05
삼성전자의 태양전지사업 영업양수도 이사회승인
2011 03
SB리모티브, 미국 전기차 개발 컨소시엄(USABC)과 차세대 전기차용 배터리 공동개발
2010 11
SB리모티브,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생산개시
2010 11
SB리모티브, 크라이슬러에 전기차 배터리팩 공급
2010 09
KRX 환경책임투자지수 및 사회책임 투자지수편입(한국증권거래소)
2010 09
국내최초 7년 연속 DJSI World index 선정
2010 02
삼성SDI 베트남 법인 설립
2009 12
델파이사 상용차용 배터리 단독 공급
2009 09
보쉬, 친환경 전기자동차용 전지 양산공장 착공
2009 09
국내 최초 6년 연속 DJSI 지속가능기업 선정
2009 08
삼성SDI - 보쉬 합작社 'SB리모티브' BMW 전기자동차用 배터리 단독공급
2009 05
친환경 에너지 기업 비전 선포
2009 04
세계 최고 효율 군사용 휴대 연료전지 개발
2008 05
SID전시회,폴더블,투명 디스플레이 전시
2008 05
산화물 TFT 기술 적용 12.1인치 AMOLED 패널 개발
2008 04
2800mmh 고용량 고속총전 2차전지 개발
2007 12
부산 브라운관 생산 중단
2007 12
세계 최대 31인치 AMOLED 개발
2007 09
AMOLED 양산 시작
2007 08
싱글스캔 50인치 풀HD PDP개발
2007 08
PDP 4라인 양산 시작
2007 08
빅슬립 1000만대 돌파
2007 06
세계최고 효율 전지팩 '맥슬림' 개발
2007 05
0.52t 세계최대 초박형 0.52mm 2.2" AMOLED 개발
2007 02
0.74t 휴대폰용 얼티밋 슬림TFT-LCD 모듈 개발
2007 02
색표현력 500배 향상된 PDP(W2)개발
2006 12
세계 최초 노트 PC용 1200Wh급 대용량 연료전지 개발
2006 09
부산 VFD 생산 중단
2006 09
DSJI 3년연속 지속가능경영 지수 선정
2006 06
수원 브라운관 생산 중단
2006 06
21인치 울트라 빅슬림 개발
2006 05
부산 PDP 제4라인 착공
2005 11
AM OLED 신규 시설 투자 공시
2005 09
세계최대 PDP 월 생산량 20만대 출하
2005 09
국내최초 2년 연속 DJSI 선정
2005 07
부탄가스이용 연료전지 개발
2005 07
최대용량 2600mAh 2차전지 양산
2005 05
국내 최초 지속가능경영보고서와 연차보고서 합본 발간
2005 04
삼성OLED 흡수합병
2004 12
세계최대 102인치 Full HD급 PDP개발
2004 10
세계최초 휴대폰 본찬용 25만컬러 수동형 OLED 개발
2004 09
국내기업 최초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지수 선정
2004 09
세계최초 회로선폭 2마이크로미터 OLED 개발
2004 08
세계최초 휴대폰 본창용 6만5천컬러 수동형 OLED 양산
2004 07
32인치 초슬림 디지털 TV용 <빅슬림> 브라운관 개발
2004 06
동아일보-한국IBM BCS, 존경받는 기업 1위 선정
2004 05
명암비 10,000:1, 휘도 1,500 칸델라 세계최고화질 42인치 PDP 개발
2004 05
세계최대 LTPS 방식 17인치 AM OLED 개발
2004 05
중국 선전공장에서 PDP 모듈 조립생산
2004 01
세계최대 80인치 Full HD급 PDP 개발
2003 12
세계최초 3면취 기술적용 PDP 제 2 생산라인 준공
2003 12
국내기업 최초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2003 11
세계최고 해상도 QVGA급 휴대폰용 유기EL 개발
2003 10
세계최고화질 37인치 HD급 PDP개발
2003 08
中심천법인 <사스예방 우수기업> 선정
2003 07
초고속, 고화질 신개념 UFS-LCD 세계최초 개발
2003 07
42인치 HD급 PDP양산, 세계최초 PDP 기종 HD급 생산체제 구축
2003 06
휘도 1000칸델라, 명암비 3000:1 세계최고화질 PDP본격 양산
2003 05
저분자 LTPS 방식 세계최대 15.5인치, 세계최초 양면발광 2.2인치 세계최고 해상도 AM유기 EL 개발
2003 05
세계최대 Full HD급 70인치 PDP 개발
2003 03
2차전지 제2기동 준공
2003 03
PDP 제 2 생산라인 건설 시작
2003 02
동관공장, 휴대폰용 UFB-LCD 생산
2003 02
제12회 경제정의기업상 대상 수상
2003 02
DNA칩용 유리기판 개발
2002 10
동영상 구형 26만컬러 UFB-LCD 개발
2002 10
PDP 블레이드 신공법 세계최초 개발
2002 08
1인치급 256칼라 PM유기 EL 양산
2002 07
중국 동관에 LCD 신공장 준공
2002 06
헝가리 브라운관 공장 준공
2002 06
초슬림 라운드타입 리튬이온전지 양산
2002 05
유기EL 신기술 레이저빔 기법 개발
2002 05
중앙연구소 준공
2002 04
세계 최초 e-Book용 접는 LCD 개발
2002 03
중국 상해 VFD 공장 준공
2002 03
휴대폰용 컬러 UFB-LCD 개발
2001 10
세계 최대 15.1" 풀컬러 AM 유기EL 개발
2001 07
PDP 공장 준공
2000 11
32인치 디지탈용 브라운관 개발
2000 10
칼라필터사업부문 삼성전자 양도
2000 07
차세대 전지공장 준공식
2000 05
PDP 기공식
2000 04
63인치 PDP 개발
2000 02
신규사업 발굴팀(MBF)발족
1999 11
상호 변경 : 삼성SDI(주) 변경
1999 10
차세대 전지공장 기공식
1999 07
프로젝션 TV용 브라운관 국산화
1999 06
HD PDP 개발
1999 06
VFD용 흰색 형광체 세계최초 개발
1999 02
국내 첫19인치 완전평면 브라운관 모니터 개발
1998 11
LED사업 분리
1998 10
50"WIDEPDP개발
1998 05
신구동방식 PDP 개발
1998 03
완전평면 다이나플랫 브라운관 개발
1998 01
대형 LCD C/F 개발
1997 11
2차전지사업 참여,PDP라인증설
1997 10
19" CDT 세계 2번째 개발
1997 06
15"Mineck브라운관 세계 2번째 개발
1997 06
입력장치(TOUCH PANEL,DIGITIZER)생산개시
1997 04
칼라필터 생산돌입
1997 01
삼성전관 럭비팀 창단
1996 11
전자파 파단 브라운관 및 MDT 개발
1996 05
브라질 진출의향서 체결
1996 03
초순간브라운관 개발
1995 11
장수명 브라운관 개발
1995 10
멕시코 사업장(SDM) 생산개시
1995 08
천안공장 기공
1995 06
FRN US$ 1억 발행
1995 06
WIDE브라운관 개발
1995 05
말레이지아공장 3,4라인 증설
1994 11
부산공장 LCD 생산사업부 BS-7750 획득
1994 10
멕시코 공장기공
1994 08
UF(초평면)브라운관 개발
1994 02
말레이지아 브라운관 공장 2개라인 증설
1994 01
32" WIDE TV용 평면 브라운관 개발
1993 12
BIO브라운관 개발
1993 06
10"칼라 STN LCD개발
1993 04
32"HD TV용 브라운관 개발
1993 01
국내 최초를 첨단 과학 분석기기 국산화 성공
1992 09
구동독 최대의 전자회사인 WF사 인수
1991 04
EMI(전자파장애)검정지점 시험관인가
1991 02
말레이지아 DPT 공장 기공식
1990 11
파키스탄에 년 50만대 규모 흑백브라운관 PLANT 수출
1990 06
IBM PC 호환기 TOPMATE 286,386 시판개시
1990 05
삼성전관 20년사 발간
1989 11
휴대용 워드프로세스 삼성워드 개발
1988 10
프라즈마 표시관 개발
1988 08
세계최대 칼라브라운관 공장 준공(년간 1,000만본)
1988 07
미LA에 현지 법인 설립(SEDAI)
1987 12
초전도체 합성에 성공
1987 04
액정표시기 양산체제 돌입, 칼라 고체촬영소자 개발
1987 03
모니터 생산 월10만톤 돌파
1986 08
평판표시소자 신규사업 정부 인가
1986 07
칼라브라운관 1000만본 생산돌파
1986 05
가천 칼라브라운관공장 준공
1986 04
FULL PAGE디스플레이 브라운관 개발
1984 02
상호 변경 : 삼성전관(주)
1983 06
종합연구소 설립
1980 08
국내최초 한글,한자 컴퓨터시스템 개발
1980 06
컬러브라운관 공장 생산개시
1979 04
수원 칼라브라운관공장 시운전
1979 01
기업공개
1978 05
컴퓨터 신규사업 정부 인가
1978 02
칼라브라운관 신규사업 인가
1975 01
ECONO TV의 QUICK START 브라운관 개발
1975 01
반도체 생산 개시
1974 03
상호 변경 : 삼성전관공업(주)
1970 12
흑백브라운관 생산개시
1970 05
진공관 생산개시
1970 01
삼성-NEC(주) 설립
기업뉴스
삼성SDI "올 공격 투자"…배터리 3사 유일
삼성SDI가 배터리셀 제조 3사 중 유일하게 올해 1분기 흑자를 기록했다. 이익 규모는 전년 대비 약 28% 줄었지만 ‘배터리 캐즘(대중화 전 일시적 수요침체)’에도 흑자를 유지하면서 투자 계획도 수정 없이 진행할 계획이다.삼성SDI는 올 1분기에 매출 5조1309억원, 영업이익 2647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발표했다. 미국 첨단 제조생산 세액공제(AMPC)를 제외한 영업이익은 2207억원이다. 이날 콘퍼런스콜에서 삼성SDI는 올해 투자 규모를 전년 대비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투자 확대를 시사한 건 배터리 3사 중 유일하다.김종성 삼성SDI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헝가리와 말레이시아 공장 증설, 미국 합작법인(JV) 공장 신규 건설 투자를 차질 없이 진행 중”이라며 “중장기 성장을 위한 46파이(지름 46㎜ 원통형 배터리), 전고체, 리튬·인산철(LFP) 등 신제품에 대한 투자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4/30
인재 어떻게 뽑길래…삼성·현대차 채용 프로그램 '파격'
"핵심 인재는 국적을 묻지 않습니다"車·반도체 글로벌 인재 유치전 삼성, 외국인 경력사원 채용현대차는 유학생 인턴 모집업계 "글로벌 경쟁 생존 전략"“핵심 인재라면 국적을 따지지 않겠다.”현대자동차가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5월 1일부터 하계 인턴십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현대차가 외국인 유학생 인턴을 공개 모집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전자 등 반도체 기업과 LG에너지솔루션과 같은 배터리 기업도 외국인 대상 채용 프로그램을 잇달아 추진 중이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국내 주요 기업이 인재 확보에 나서고 있다.현대차의 외국인 인턴은 국내 대학에서 3학년 이상 재학하거나 석사 과정을 밟고 있는 유학생이라면 국적에 상관없이 지원할 수 있다. 선발된 인턴은 7월부터 4주 일정으로 연구개발(R&D), 기획, 경영지원 등의 직무를 경험한다. 현대차는 해외 대학 이공계 박사과정 인턴십도 이번에 신설했다. 이공계 박사과정 인턴은 7월부터 2개월간 R&D 본부 또는 AVP(첨단차플랫폼) 본부에서 현직 직원과 연구 과제를 공동 수행한다.현대차는 주요 전략 시장인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인재를 대상으로 인턴도 모집한다.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우수 대학 재학생을 국내로 초청해 각 나라 사업과 관련된 업무를 한 달간 맡길 예정이다. 우수 인턴에겐 현지 법인 채용 등을 제안할 계획이다.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등은 지난달부터 외국인 경력사원 채용을 시작했다. 그동안 삼성은 세계 R&D 우수 인재를 대상으로 채용 활동을 해왔다. 외국인 경력사원 공개 채용은 국내 근무를 희망하는 외국인 인재를 위해 지난해 처음 도입했다. 채용된 외국인 직원은 각 계열사의 국내 사업장에서 국내 임직원과 동일한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삼성SDI는 유럽, 미국 등지에서 ‘테크&커리어 포럼’을 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주요 대학 석·박사급 인력을 대상으로 회사의 비전을 소개하고 채용 과정을 설명하는 행사다. 지난해에는 최윤호 사장을 필두로 주요 개발 부문 최고위 임원이 총출동해 열띤 호응을 얻었다.LG에너지솔루션도 올해 미국에서 글로벌 우수 인재 채용 행사인 ‘배터리 테크 콘퍼런스(BTC)’를 열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매사추세츠공대(MIT) 등 미국 유수 대학과 연구소의 석·박사급 인재 유치를 위해 BTC를 활용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콘퍼런스 신청자가 매년 서너 배 이상 늘어날 만큼 현지에서 관심이 많다”며 “글로벌 인재 영입을 위해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김진원/빈난새 기자 jin1@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4/30
삼성SDI, 1분기 영업이익 2674억원…전년 대비 29%↓
삼성SDI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떨어졌다. 전방 수요 둔화와 비수기 영향으로 전지 부문 사업이 부진하면서다.삼성SDI는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대비 4% 감소한 5조1309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9% 감소한 2674억원을 기록했다.전지 부문 매출은 4조 581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145억 원으로 32% 줄었다. 영업이익률은 4.7%를 기록했다.중대형 전지는 전방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수익성을 기록했다. 자동차용 전지는 프리미엄 차량에 탑재되는 P5의 견조한 판매와 미주 P6의 공급 개시 등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 및 '첨단 제조생산 세액공제(AMPC)' 수익 인식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했다.ESS 전지는 비수기 영향 등으로 매출 및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했다. 소형 전지는 매출이 감소했으나 파우치형 전지를 중심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원형 전지는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한 고객의 재고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으나 전동 공구는 장기 공급 계약을 기반으로 전분기 수준의 매출과 수익성을 유지했다. 파우치형 전지는 주요 고객의 신규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 호조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하며 소형전지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전자재료 부문 매출은 549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529억 원으로 10% 줄었다. 편광필름은 75인치 이상 대형 패널을 중심으로 매출이 확대되고 수익성이 개선됐다. 반도체 소재는 고객의 일시적 재고 조정으로 전 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최윤호 삼성SDI 대표는 "불확실성이 높은 경영 환경에서도 초격차 기술경쟁력 확보,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을 지속해서 추진해 나가고 있다"며, "앞으로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변화와 혁신을 통해 2030년 글로벌 최상급 회사 달성을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4/30
헝가리에 대규모 철도 터미널…LX판토스, 유럽 물류사업 확대
LX판토스가 헝가리에 대규모 철도 터미널을 열었다. 세계 4위 배터리 생산국이자 동유럽 물류 요충지인 헝가리를 발판 삼아 유럽 물류 사업을 대폭 늘린다는 계획이다.LX판토스는 지난 19일 헝가리 현지에서 LX판토스 타타 터미널 개장식을 열었다고 21일 발표했다. 부다페스트 남쪽 65㎞ 지점에 자리 잡은 이 터미널은 축구장 5개(3만6000㎡) 크기로 지어졌다. 동시에 145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의 화물을 보관할 수 있다.터미널 안에 두 개의 철도 선로를 깐 덕분에 하루 세 번 전용 열차(블록트레인)로 화물을 처리한다. LX판토스는 이를 위해 오스트리아 철도청으로부터 터미널 10년 이용권을 받았다. 계약기간이 끝나면 추가로 10년을 연장할 수 있는 우선권도 확보했다.LX판토스는 향후 중국횡단철도(TCR)와 연계해 타타 터미널을 중심으로 유럽 내륙 주요 도시를 철도로 연결하는 방안도 구상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동유럽 해상 물류 관문인 슬로베니아 코페르항에서 헝가리·폴란드 등 유럽 주요 배터리 생산 거점을 잇는 해상·철도 복합 운송이 가능해진다.중국·폴란드·미국에 이어 배터리 생산량 세계 4위인 헝가리는 유럽 전기차·배터리 산업의 허브로 자리매김한 나라다. 삼성SDI, SK온, 에코프로 등 국내 기업들도 헝가리 투자를 늘리고 있지만, 기존 인프라로는 급증하는 화물 수요를 따라가기 역부족이란 평가가 많았다. LX판토스 관계자는 “타타 터미널 개장으로 화물 처리 효율성을 끌어올리는 동시에 유럽 물류 시장을 적극 개척할 계획”이라고 말했다.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4/21
삼성 '비상 경영' 돌입…모든 임원 주6일 근무
경영 불확실성에 선제 대응다른 기업에 확산될지 촉각삼성그룹 모든 계열사 임원들이 이르면 이번주부터 ‘주 6일 근무’를 시작한다. 삼성전자 등 주력 계열사의 실적이 예전만 못한 상황에서 환율, 유가 등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자 사실상 ‘비상경영 체제’에 들어간 것이다. 다른 기업들도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는 만큼 ‘임원 주 6일제’가 재계 전반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17일 산업계에 따르면 삼성 전 계열사 임원들은 이르면 이번주부터 주 6일 근무에 들어간다. 삼성 각 계열사 인사팀이 최근 임원들에게 주 6일 근무제에 동참할 것을 권고한 데 따른 것이다. 삼성 계열사의 한 임원은 “삼성전자 등 주요 계열사의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치는 점 등을 감안해 임원부터 경각심을 갖고 위기 극복에 동참하자는 취지에서 시행하는 것”이라며 “이란과 이스라엘의 갈등이 고조되면서 환율과 유가가 치솟는 등 경영 여건이 나빠진 것도 감안한 조치”라고 설명했다.삼성전자는 경영지원·개발 담당 임원 중심으로 실시하고 있는 주 6일 근무에 생산·영업 등 나머지 임원들도 동참하기로 했다.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삼성SDI, 삼성SDS 등 전자 관계사 임원들도 이르면 이번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 등 설계·조달·시공(EPC) 3사 임원들은 올초부터 주 6일 근무를 하고 있다. 삼성생명 등 금융 계열사도 조만간 주 6일제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다.주 6일 근무는 각 임원이 토요일이나 일요일 중 하루를 골라 근무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산업계는 ‘비상 경영’이 재계 전반에 확산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주력 계열사의 실적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SK그룹도 지난 2월부터 수뇌부와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이 토요일에 모여 현안을 논의하는 ‘토요 사장단 회의’를 20년 만에 부활시켰다. 삼중고에 실적 악화…비상등 켠 기업들삼성 반도체 1분기 흑자 냈지만…파운드리 사업은 여전히 적자“사실상의 비상 경영 선언이다.”삼성그룹의 ‘임원 주 6일제 시행’에 대한 산업계의 평가는 이렇다. 삼성이 비상경영에 들어간 건 그만큼 경영 환경이 녹록치 않다고 봤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주력 사업인 반도체에서 지난해 15조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할 정도로 경영 실적이 악화됐다. 외부 변수도 심상치않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이란과 이스라엘의 갈등이 확산하면서 경영의 핵심 변수인 환율·유가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산업계에선 삼성이 시작한 비상 경영이 다른 대기업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그룹 억누르는 위기삼성이 ‘임원 주 6일제’를 시행한 데는 삼성전자의 실적 영향이 크다. 삼성전자 반도체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은 지난해 네 개 분기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하며 15조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올 1분기 DS부문은 흑자 전환엔 성공했지만 미래 먹거리로 집중 육성 중인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등 시스템반도체 사업은 여전히 적자다.경쟁사의 추격도 심상치 않다.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은 SK하이닉스가 주도하고 있다. 파운드리 진출을 선언한 인텔은 삼성을 제치고 2위에 오르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상태다.기업 경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대외 환경도 악화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이어 이스라엘과 이란이 전쟁을 벌이면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고 있어서다. 이로 인해 유가와 환율은 요동치고 있다.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한 때 달러 당 155엔 수준까지 상승했다. 원화 약세도 심각하다. 원·달러 환율도 장 중 달러 당 1400원을 돌파했다. 고금리 장기화가 글로벌 경기에 주는 충격파도 지속되고 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최근 금리 인하 시기를 늦출 수 있다는 발언을 한 게 대표적이다. ○전 산업으로 비상경영 확산산업계에선 삼성의 비상경영 선언이 재계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거론한다. 주력 산업의 경영 여건이 악화하고 있어서다. 재계 2위 SK그룹은 수뇌부와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이 토요일에 모여 현안을 논의하는 ‘토요 사장단 회의’를 20년 만에 부활시켰다. 또 SK그룹 최고의사협의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수펙스) 소속 임원들은 매달 두 차례 금요일에 쉴 수 있는 유연근무제를 반납하기로 했다. 느슨해진 그룹 분위기를 다잡기 위해 임원들이 나서서 ‘일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최창원 수펙스 의장의 뜻이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석유화학 업계는 대대적인 인력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 1위인 LG화학은 최근 근속 5년 이상 첨단소재사업본부 생산기술직 직원을 대상으로 오는 30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기로 했다. LG화학은 수익성이 떨어지는 한계 사업을 정리하고 2차전지 양극재 등 신사업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작년 9월 IT필름(편광판 및 편광판 소재) 사업 설비를 약 1조1000억원에 중국 기업에 매각하기로 했다. 이후 작년 하반기 해당 사업을 맡은 IT소재 사업부 직원들을 다른 사업부로 전환 배치하고 특별 희망퇴직도 진행했다.롯데케미칼 역시 인력 재배치 작업을 진행 중이다. 플라스틱 원료인 페트(PET)를 제조하는 울산공장의 일부 직원을 다른 공장으로 전환 배치하기로 한 것. 중국 석유화학 기업의 ‘증설 러시’에 PET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치란 분석이다.황정수/김우섭 기자 hjs@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4/17
'위기 돌파' 삼성 임원 주 6일 근무한다…전 계열사로 확대
삼성그룹이 삼성전자를 비롯해 일부 계열사에 적용되던 '임원 주 6일 근무'를 그룹 전체로 확대하기로 했다.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 속에 중동발 리스크 등이 연이어 터진 데 따른 '비상 경영' 차원으로 풀이된다.17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SDI·삼성전기·삼성SDS·삼성디스플레이 등 계열사 임원들은 주말 중 하루는 출근하게 됐다. 삼성의 전자 계열사 인사팀은 임원들에 주 6일 근무 동참을 개별적으로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룹 핵심인 삼성전자가 반도체 불황 여파 등으로 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실적이 연동되는 계열사들도 동참하자는 취지로 풀이된다.삼성물산과 삼성중공업·삼성엔지니어링 등 설계·조달·시공(EPC) 3사 일부 임원들의 경우 올해 초부터 주 6일 근무를 시행하고 있던 것으로 전해진다.다만 임원을 제외한 부장급 이하 직원들의 '동반 출근'은 엄격히 금지된다. 근태관리 또한 별도로 하지 않아 출퇴근 여부를 체크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 '맏형' 삼성이 비상경영에 나서면서 다른 대기업들도 동참할 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앞서 SK그룹은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한 2000년 이후 24년 만에 ‘토요사장단 회의’를 부활시킨 바 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4/17
복리후생
학자금지원
직원대출
건강검진
휴양시설
주택 대부 및 경조금 지원 : 주택의 경우 무주택 사원들의 주택 구입을 지원하기 위한 지원 제도를 운영 또한 사원의 경조사 시 지원금을 지급 선택적 복리후생 : 연간 임직원에게 부여된 복지 포인트를 통하여 건강관리 여가선용 자기계발 등 자신이 원하는 분야에 인재개발을 자유롭게 이용 여가생활 : 에버랜드에서 운영하는 캐리비안베이를 저렴하게 이용 가능하며 전국에 콘도 및 리조트의 회원권을 보유하여 임직원과 가족의 여가활동을 지원 교육비 지원/사내 어린이집 운영 : 사내 복지 기금으로 학비를 지원 각 사업장에 사내 어린이집을 운영하여 업무와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시설을 구비 상담 센터 운영 : 열린 상담 센터를 운영하여 직장 생활과 개인 고충 생활 전반에 대한 문제를 함께 나누고 전문 심리상담을 제공 건강관리 : 모든 임직원은 매년 건강진단을 받고 있으며 질병 부상 출산 등의 경우에 본인 및 배우자의 의료비를 지원 여사원들을 위한 여사원 휴게실 및 유축실을 따로 마련
평균연봉
302 만원
신규사원 평균연봉 (기준년월 2022.08)
378 만원
평균연봉 (기준년월 2022.08)
재무정보 및 상시근로자
매출액(2023.12 기준)
19조 7,990억 5,621만
(기준년월 2023.12)
13.41%
(작년대비)
영업이익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빼고 얻은 총 이익 중에서 일반 관리비와
판매비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순수하게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을 말합니다.

(2023.12 기준)
5,883억 5,415만
(기준년월 2023.12)
-41.80%
(작년대비)
당기순이익

일정 기간에 발생한 순이익을 말합니다.
순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 판매비, 관리비 등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2023.12 기준)
8,211억 8,229만
(기준년월 2023.12)
-5.16%
(작년대비)
사원수 (1988.12 기준)
10612명
(1988년 사원수)
13.24%
(작년대비)
기업위치
(17084) 경기 용인시 기흥구 공세로 150-20
많이 본 기업
1 / 6
한국사회보장정보원
보건복지분야사업,정보시스템 통합운영,관리
17년차 636명
평균연봉 4,329만원 채용중 0건 >
신한라이프생명보험(주)
생명보험,금융보험
36년차 1,497명
평균연봉 6,084만원 채용중 7건 >
(주)멀티캠퍼스
인터넷 위탁교육(기업교육,외국어교육,평가 등),컨텐츠 제공,소프트웨어 개발,시스템구축,판매
26년차 913명
평균연봉 6,014만원 채용중 14건 >
대한상공회의소
출판,광고/공제,소프트웨어,위탁교육훈련,유통정보 용역,사업 지원
49년차 200명
평균연봉 5,372만원 채용중 0건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 심사,평가,심사,평가기준개발,건강보험 조사연구,국제협력
26년차 2,494명
평균연봉 6,587만원 채용중 0건 >
(재)우체국물류지원단
우편물 송달/화물운송 대행/국제물류 주선,우정사업 연구개발
46년차 1,484명
평균연봉 4,888만원 채용중 0건 >
(사)한국플랜트산업협회
연구용역
1년차
평균연봉 5,463만원 채용중 0건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학술,기술 연구용역,소프트웨어 개발,공급/전자상거래/부동산 임대/기술 시험,검사,분석
60년차 719명
평균연봉 8,741만원 채용중 4건 >
(주)스카우트
취업정보제공/온라인정보제공,서적 출판,전산프로그램 개발,제조,판매/전기전자부품 제조/전자상거래/기관구내식당/전산센터운용(핸드폰개통에관한)
28년차 476명
평균연봉 3,040만원 채용중 2건 >
(주)네오바이오텍
의료용구,의료기기,치과재료 제조,도소매,무역,통신판매/부동산 임대/교육서비스
26년차 449명
평균연봉 4,209만원 채용중 0건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주)
타이어 제조
14년차 6,441명
평균연봉 5,646만원 채용중 30건 >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유)
택배
8년차 2,312명
평균연봉 3,857만원 채용중 6건 >
(주)컬리
전자상거래(식품,소비재,뷰티)
12년차 2,655명
평균연봉 3,206만원 채용중 2건 >
충남대학교병원
종합병원/의학 교육,연구
31년차 4,615명
평균연봉 7,046만원 채용중 1건 >
(재)충남테크노파크
재단/연구용역 대행,장비 임대,교육/부동산 임대,분양(매매)
1년차 112명
평균연봉 6,836만원 채용중 0건 >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융,복합기술 연구개발,공공인프라
50년차 658명
평균연봉 8,304만원 채용중 0건 >
대구교통공사
도시철도 운송/철도궤도공사/부동산 임대/광고 대행
31년차 2,391명
평균연봉 6,002만원 채용중 0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