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기업소개
2011년 04월 22일 설립
업력15년차
기업형태
일반법인, 대기업, 주식회사
사원수
4,954명
매출액 (2023년)
2조 9,387억 5,568만원
대표자 명
임존종보
기업주소
인천 연수구 송도바이오대로 300
주요사업내용
바이오의약품 제조
계열사
삼성 계열사 (60개 사)
에스코어(주) 에스디플렉스(주) 삼성물산(주) 삼성전자판매(주) 삼성벤처투자(주) 삼성생명서비스손해사정(주) (주)삼성글로벌리서치 (주)제일기획 (주)에스원 삼성에스디에스(주) 삼성증권(주) (주)미래로시스템 에이치디씨신라면세점(주) 오픈핸즈(주) (주)시큐아이 (주)서울레이크사이드 삼성생명보험(주) 삼성화재해상보험(주) 삼성자산운용(주) 삼성카드(주) 삼성이앤에이(주) 삼성바이오로직스(주) 세메스(주) 삼성선물(주) 삼성전기(주) 스테코(주) 삼성화재서비스손해사정(주) (주)휴먼티에스에스 에스원씨알엠(주) 에스티엠(주) 에스유머티리얼스(주) 제일패션리테일(주) 삼성바이오에피스(주) 삼성디스플레이(주) 삼성에스알에이자산운용(주) 삼성전자서비스씨에스(주) 삼성웰스토리(주) (주)하만인터내셔널코리아 에스비티엠(주) 삼성중공업(주) 삼성SDI(주) 삼성전자(주) 삼성전자서비스(주) 삼성화재애니카손해사정(주) 삼성코닝어드밴스드글라스(유) 삼성전자로지텍(주) (주)호텔신라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주)멀티캠퍼스 삼성카드고객서비스(주) 삼성헤지자산운용(주) (주)삼성라이온즈 (주)씨브이네트 삼성메디슨(주) (주)삼성생명금융서비스 삼성액티브자산운용(주) (주)삼성화재금융서비스보험대리점 신라에이치엠(주) 수원삼성축구단(주) (주)미라콤아이앤씨
연혁
2024 06
Kiniksa Pharmaceuticals (UK), Ltd 원제 생산 본계약 체결
2024 06
Baxter 원제 추가 생산계약 체결
2024 06
고농도 바이오의약품 개발 지원 플랫폼 'S-Tensify™' 출시
2024 05
2024년 ESG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2024 05
Eli Lilly Kinsale Limited 원제 추가 생산계약 체결
2024 05
삼성 Life Science Fund, 미국 바이오 기업 'Latus Bio' 투자
2024 04
MSD 원제 추가 생산계약 체결
2024 03
삼성Life Science Fund, 미국 바이오 기업 'BrickBio' 투자
2024 03
MSD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24 03
UCB 원제 추가 생산계약 체결
2024 02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리더십 A-등급' 획득
2024 02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 ADC 치료제 위탁개발 계약 체결
2024 01
에코바디스(EcoVadis) 플래티넘 등급 획득 (평가 대상 기업 상위 1%)
2023 12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DJSI) 3년 연속 편입
2023 11
아시아 소재 제약사 원제 생산 계약 체결
2023 10
ESG 종합평가 'A+ 등급' 획득
2023 10
바이오 헬스케어 VC 'Kurma Partners' 파트너십 체결
2023 09
SABA (Sustainable Aviation Buyers Alliance) 가입
2023 09
SWORDS LABORATORIES 원제 추가 생산 계약 체결
2023 09
삼성 Life Science Fund, 국내 바이오 기업 '에임드바이오' 투자
2023 08
바이오플라자2 개관
2023 07
Novartis 원제 생산 계약 체결
2023 07
Pfizer 원제 생산 계약 체결
2023 06
2023년 ESG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2023 06
UNGC (UN Global Compact) 가입
2023 06
Pfizer 원제 생산 계약 의향서 체결
2023 06
5공장 공기 축소(건설 기간 변경) 공시
2023 06
미국 소재 제약사 원제 생산 계약 의향서 체결
2023 05
유럽 소재 제약사 원제 생산 계약 의향서 체결
2023 04
GlaxoSmithKline 원제 추가 생산 계약 체결
2023 04
삼성 Life Science Fund, ADC 기술 보유 Araris 투자
2023 04
5공장 착공
2023 03
미국 뉴저지 영업사무소 개소
2023 03
5공장 증설 계획 발표
2023 03
Eli Lilly Kinsale Limited 원제 추가 생산계약 체결
2023 03
Pfizer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23 01
국내 기업 최초 '테라카르타 실 (Terra Carta Seal)' 수상
2022 12
기후변화 관련 재무 정보 공개 협의체(TCFD) 보고서 발간
2022 12
협력사 ESG 파트너십 체결
2022 12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DJSI) 2년 연속 편입
2022 11
RE100 가입 및 2050년 탄소중립(net-zero) 목표 발표
2022 11
ESG 종합평가 2년 연속 'A등급' 획득
2022 10
이중항체 플랫폼 'S-DUAL' 및 신약후보 발굴 플랫폼 'Developick' 출시
2022 06
Novartis 원제 생산계약 의향서 체결
2022 04
유상증자 신주상장 (보통주 5,009,000주)
2022 04
삼성바이오에피스(주) 지분 100% 양수 완료
2022 03
송도 11공구 제2바이오캠퍼스 부지 매입 의결
2022 03
삼성Life Science Fund, 美 유전자 치료제 개발사 투자
2022 03
Eli Lilly Kinsale Limited 원제 추가 생산계약 체결
2022 01
Biogen 보유 바이오에피스 지분 양수 결정
2021 12
Moderna COVID-19 mRNA 백신 식약처 품목허가 획득
2021 12
국제표준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인증 획득
2021 11
GreenLight Biosciences mRNA 백신 후보물질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21 11
생명과학 서비스 기업 최초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DJSI)' 편입
2021 11
송도 5공구 5공장(Multi Modal Plant) 부지 매매계약 체결
2021 11
바이오의약품 전문기업 최초 ESG 종합평가 'A등급' 획득
2021 10
당사 생산 Moderna COVID-19 mRNA 백신 첫 국내 공급
2021 09
MSD 원제 위탁생산 의향서 체결
2021 09
Roche 원제 추가 생산계약 체결
2021 09
CDO 가속 플랫폼 ‘S-Cellerate’ 공개
2021 09
금감원 기후환경리스크 관리 모형 개발 프로젝트 참여
2021 06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첫 발간
2021 05
모더나 COVID-19 백신 완제 생산계약 체결
2021 01
Roche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20 12
대표이사 변경: 김태한->존림
2020 11
송도 4공장 착공
2020 10
미국 샌프란시스코 CDO R&D센터 개소
2020 09
AstraZeneca UK Ltd. 원제/완제 생산계약 체결
2020 08
GlaxoSmithKline Trading Services Limited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20 07
Eli Lilly and Company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20 07
H. Lundbeck A/S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20 06
유럽 소재 제약사 원제 생산계약 의향서 체결
2020 06
스위스 소재 제약회사 추가 생산계약 의향서 체결
2020 06
스위스 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의향서 체결
2020 05
GSK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20 05
미국 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의향서 체결
2020 04
Immunomedics 추가 생산계약 체결
2020 04
Vir Biotechnology 원제 생산계약 의향서 체결
2020 01
Samsung Biologics America, Inc. 설립
2019 12
스위스 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9 12
미국 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9 11
아시아 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9 11
Ichnos Sciences 추가 생산계약 체결
2019 05
UCB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9 05
아시아 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9 04
아시아 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9 04
아시아 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9 04
Cytodyn Inc.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9 03
유틸렉스 위탁개발계약 체결
2018 11
Biogen Therapeutics Inc.에 삼성바이오에피스주식회사 주식 9,226,068주 양도
2018 09
Immunomedics, Inc.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8 08
아시아 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8 06
Biogen Therapeutics Inc. 콜옵션 행사 통지서 수령 및 주식 양도 결정
2018 06
유럽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8 04
유럽소재 제약회사 추가 생산계약 체결
2018 02
미국 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8 02
아시아 소재 제약회사 추가 생산계약 체결
2017 12
유럽 EMA로부터 송도 2공장 제조허가 승인
2017 12
유럽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7 11
미국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7 09
미국 FDA로부터 송도 2공장 제조허가 승인
2017 09
유럽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의향서 체결
2017 07
유럽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7 07
Sun Pharma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7 05
유럽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의향서 체결
2017 01
스위스 소재 제약회사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6 11
Cilag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6 11
기업공개 KOSPI 상장
2016 08
대표이사 변경 : 김태한 -> 김태한
2016 07
유럽 EMA로부터 송도 1공장 제조허가 승인
2016 05
미국 제약사와 완제 생산계약 체결
2016 04
삼성바이오에피스 바이오시밀러제품 생산계약 체결
2015 11
미국 FDA로부터 송도 1공장 제조허가 승인(No Observation)
2015 11
송도 3공장 착공
2015 09
최대주주 변경(변경전: 삼성전자 46.79%, 제일모직 46.79%, 삼성물산 4.25%-> 변경후: 삼성물산 51.04%, 삼성전자 46.79
2014 07
최대주주 사명변경(삼성에버랜드 -> 제일모직)
2014 06
Archigen Biotech Ltd. 합작사 설립
2014 04
BMS 원제 생산계약 확장 및 완제 생산계약 체결
2013 10
Roche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3 09
송도 2공장 착공
2013 07
BMS 원제 생산계약 체결
2012 06
본점소재지 변경 :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201-2
2012 02
삼성바이오에피스 설립
2012 01
본점소재지 변경 :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172-1 송도테크노파크 아이티센터 엠동 3003호
2011 05
송도 1공장 착공
2011 04
송도부지 토지임대차 계약
2011 04
회사 설립
기업뉴스
어르신 디지털 약자 "키오스크 주문, 이젠 어렵지 않아요"
Zoom In 삼성 시니어 디지털 아카데미 개소탑골미술관서 IT기기 체험·활용생활 불편 해소·취업 역량 강화주관사 에스원…삼성 8개社 참여“음료 버튼을 잘못 누른 것 같은데 뒤로 돌아가려면 어디를 누르죠?”서울 종로구에 사는 어르신 임모씨(67)가 키오스크를 체험하면서 연신 고개를 끄덕였다. 도우미 설명을 듣던 임씨는 “방금 설명이 조금 빨랐는데 다시 한번 천천히 얘기해달라”며 수줍게 웃었다. 키오스크 체험을 마친 임씨는 “예전에 햄버거를 사 먹으러 갔다가 키오스크로만 주문받는다고 해서 못 먹고 나온 적이 있다”며 “이렇게 한번 해보니 다음에는 주문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23일 서울 경운동 서울노인복지센터 1층 탑골미술관에 특별한 체험 공간이 마련됐다. 어르신들이 일상에서 디지털 기기를 체험하며 익힐 수 있는 공간인 삼성시니어디지털아카데미(SSDA)가 문을 열었다.디지털 체험센터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삼성의 새로운 사회공헌(CSR) 사업의 일환이다. SSDA는 디지털 약자인 어르신들이 키오스크와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를 능숙하게 활용해 생활의 불편을 해소하고 취업 역량까지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에스원이 주관사를 맡았다. 제일기획,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호텔신라, 삼성웰스토리, 삼성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 삼성글로벌리서치 등 8개 관계사도 사업에 참여한다.탑골미술관 내부 330㎡에 마련된 체험센터는 크게 3개 공간으로 나뉜다. 입구를 들어서면 스마트패드 4대가 자리하고 있다. 어르신들은 SSDA에서 만든 앱을 통해 디지털 기기를 익힐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이나 메신저를 통해 사진을 전송하는 법 등이 패드에 담겨 있다.디지털 체험교육 공간은 실제 현장을 똑같이 구현했다. 패스트푸드존, 병원·약국존, 영화관존, 은행·주민센터존으로 구분했다. 실제 패스트푸드점이나 주민센터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키오스크와 똑같이 만들어 어르신들이 실전에서 낯설게 느끼지 않도록 했다. 원하는 메뉴를 고른 뒤 카드를 넣으면 영수증까지 나올 정도로 현장을 그대로 옮겨놨다. 윤리교육을 제공하는 공간도 한쪽에 마련했다. 영상 교육을 통해 악성 댓글을 달았을 때의 위험성과 가짜뉴스를 무분별하게 공유했을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을 소개했다.SSDA는 지난달 말부터 65세 이상 취약 계층 어르신 300명을 대상으로 노인 디지털 약자의 불편 해소를 위한 생활 맞춤형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 300명은 이번에 문을 연 디지털 체험센터에서 체험 실습 교육도 할 방침이다.취업 연계형 디지털 교육도 한다. 올해 첫 취업 대상으로 서울교통공사가 선정돼 지난달 초부터 2주간 실습 위주 교육을 했다. 교육에 참여한 어르신 40명 중 30명의 채용이 확정돼 서울교통공사에서 지하철 역사 내 소화물 단기 보관과 배송 직무 계약직으로 근무하고 있다. 에스원은 연내 기업·기관 2∼3곳을 추가 발굴해 취업 연계형 맞춤 교육을 할 계획이다.최형창 기자 calling@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4/23
삼성 올해 상반기 공채 시작…채용 규모 1만명 안팎 예상
11일부터 상반기 공채 시작…19개 계열사 참여일자리 확대 위해 2022년부터 5년간 8만명 채용삼성은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오는 11일부터 올해 상반기 공채를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채용 규모는 1만명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상반기 공채를 실시하는 계열사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삼성SDI △삼성SDS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증권 △삼성자산운용 △호텔신라 △제일기획 △에스원 △삼성글로벌리서치 △삼성웰스토리 등 19곳이다.공채 지원자들은 이달 11일부터 18일까지 채용 홈페이지 삼성커리어스를 통해 입사를 희망하는 회사에 지원서를 접수할 수 있다. 지원서 접수 후에는 △온라인 삼성직무적성검사 GSAT(4월) △면접(5월) △건강검진 순으로 채용 절차가 진행된다.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디자인 등 일부 직군의 경우 소프트웨어 역량 테스트와 디자인 포트폴리오 심사를 실시한다.삼성은 양질의 국내 일자리를 확대하기 위해 2022년부터 5년간 8만명을 채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삼성은 연구개발(R&D)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입사원 공채 외에도 국내 경력직, 우수 외국인 유학생 채용을 병행하고 있다. 삼성은 외부 영입 인재와 외국인들이 회사에서 마음껏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유연하고 수평적인 조직문화 조성에도 힘쓰고 있다.삼성은 국내 주요 그룹 중 유일하게 신입사원 공채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은 1957년 국내 기업 최초로 공채 제도를 도입한 이후 '인재제일(人材第一)' 경영철학에 따라 능력 중심의 인사를 구현하기 위해 지속적인 인사제도 혁신을 추진해 왔다. 1993년 국내 최초로 대졸 여성 신입사원 공채 제도를 신설하고, 1995년에는 입사 자격요건에서 학력을 제외하는 등 관행적 차별을 철폐했다. 회사 관계자는 "삼성은 우수한 인재를 공정하게 선발하고 직원들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채용 및 인사제도 혁신을 지속할 방침"이라고 전했다.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3/10
'역대급 실적' 삼성바이오로직스, 임직원 평균 연봉 1억 육박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기록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임직원들의 평균 연봉이 1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등기임원을 제외한 이 회사 임직원의 지난해 평균 보수는 9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9200만원보다 7.6% 증가했다. 이는 동종 업계 최고 수준이다. 2022년 기준 셀트리온과 SK바이오사이언스의 평균 연봉은 약 8100만원, SK바이오팜의 평균 연봉은 약 8400만원이었다.등기임원인 존림 대표의 연봉도 늘었다. 존림 대표의 지난해 보수는 66억2400만원으로 전년보다 45% 늘었다. 삼성그룹에는 3년간 성과를 평가해 지급하는 '장기 성과 인센티브'(LTI) 제도가 있다. 이에 따라 2020~2022년 존림 대표의 업무 성과에 대한 인센티브가 지난해 처음 지급되면서 임금이 상승한 것으로 추측된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국내 바이오업계 최초로 연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에는 한 해 매출 3조6946억원, 영업이익 1조1137억원의 역대 최대 실적을 내며 기록을 경신한 바 있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3/07
이재용 회장, 등기이사 안 한다…삼성전자 내달 20일 주총
항소심 등 사법 리스크 여전…복귀 시점 영향 준 듯20일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서 제55기 정기 주총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사진)이 등기이사 자리에 오르지 않는다.삼성전자는 20일 이사회를 열고 다음달 20일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제55기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주총 안건으로는 △재무제표 승인 △사외이사 신제윤 선임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조혜경 선임 △감사위원회 위원 유명희 선임 △이사 보수한도 승인 △정관 일부 변경 등이 상정될 예정이다.최대 관심사인 이 회장의 등기이사 안건은 포함되지 않았다. 앞서 이 회장은 지난 5일 '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합병 및 회계부정 사건' 관련 모든 혐의에 대해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아 등기이사 선임 가능성이 거론됐다. 그러나 검찰 항소로 사법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등기이사 복귀는 '시기상조'라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이 회장은 2016년 10월 임시 주총을 통해 등기이사인 사내이사로 선임됐으나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돼 경영 활동에 제약을 받다 2019년 제외됐었다.이 회장은 4대 그룹 총수 중 유일하게 미등기 임원 신분을 계속 유지하게 됐다.이 회장은 1심 선고 이후 이사 복귀 여부와 무관하게 그룹 총수로 미래 먹거리 육성과 신사업 발굴 등에 집중하고 있다. 경기 침체로 반도체 등 일부 사업 실적이 부진한 가운데 5대 미래 신수종 사업으로 점찍은 배터리와 바이오 등 국내외 사업장을 찾아 현장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그는 지난 6일 중동으로 출국한 뒤 9일 말레이시아 스름반에 있는 삼성SDI 생산법인을 찾았다. 이달 16일엔 국내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업장을 방문해 "현재 성과에 만족하지 말고 더 과감하게 도전하자"며 "더 높은 목표를 향해 미래로 나아가자"고 독려했다.2016년 국정농단 사태부터 햇수로 9년째 발목을 잡았던 '경영 족쇄'가 약해진 만큼 경영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다. 다만 향후 항소심 재판이 본격화하면 이 회장은 또다시 재판에 출석해야 해 장기간 해외 출장 등의 경영 행보에는 여전히 일부 제약이 있을 수 있다.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2/20
삼성에 초기업노조까지…그룹 근간 흔드나
이종기업 4개사 뭉쳐 勢과시전자DX·바이오·화재 등 업종·현안 다른데도 결합무리한 교섭안 제시해 존재감 키워 정치세력화할 듯반도체만 15조 적자인데노사갈등, 위기 더 키울수도삼성에 전자, 금융, 바이오 부문 4개 계열사 근로자가 참여하는 초기업 노조가 등장해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임금 협상이 불가능한 이종 업종 계열사 노조 간 결합을 두고 ‘세 불리기’를 통한 그룹 압박성격용이라는 관측이 나온다.○이종기업끼리 결합한 ‘별종노조’삼성 4개 계열사 노동조합을 합친 ‘삼성 초기업 노동조합’이 19일 공식 출범했다. 삼성전자 내 모바일 등 사업을 하는 디바이스경험(DX) 노조(6100명), 삼성디스플레이 열린노조(4100명), 삼성화재해상보험 리본노조(3400명),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노조(2200명)가 참여한다.5월에 합류할 예정인 삼성전기 존중노조 조합원 2100명까지 포함하면 총 1만7900명 정도다. 관계사 노조 중 최대 규모인 전국삼성전자노조(전삼노)의 1만7000여 명과 맞먹는 수준이다. 앞으로 계열사 노조가 추가로 합류할 가능성도 있다.초기업 노조는 전자, 디스플레이 등 제조업을 중심으로 금융, 바이오사가 한데 뭉친 게 특징이다. 하는 일이 서로 완전히 다른 기업들이 그룹사를 겨냥해 초기업 조직을 만든 경우는 극히 이례적이다. 이들의 핵심 요구사항은 그룹 차원의 임금 가이드라인 폐지와 컨트롤타워 격인 사업지원 태스크포스(TF)의 노사관계 관여 금지다. 홍광흠 초기업 노조 위원장(삼성화재 리본노조위원장)은 “동등한 관계 아래 유연한 노사 교섭을 통해 각 사의 실정에 맞는 임금, 복지, 근로조건 수립을 목적으로 한다”고 밝혔다.그러나 이들의 요구사항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게 노사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기업은 인사 평가에 따른 차등 임금 지급 체계가 있고, 업종별로 평가 기준도 전부 다르다. 이들의 임금 가이드라인 폐지 요구는 자기 입맛에 따라 임금 협상에 대한 주도권을 쥐겠다는 주장이라는 지적이다.게다가 주축이 된 삼성전자 DX는 교섭권이 없다. 교섭권을 가질 만큼 노조원을 확보하지 못해서다. DX는 지난해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과의 갈등으로 회사 내 별도로 DX노조를 출범시켰다. DX가 빠진 전삼노는 현재 사측과 임금 협상을 진행 중이다. DX노조가 전삼노에 맞선 ‘맞불 작전’으로 이종 계열사들과 세 불리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업무 특성이 다른 계열사가 현실적으로 한목소리를 내기도 어렵다. 실제로 초기업 노조 소속 일부 노조는 조합비를 내지 않아도 조합원으로 가입을 허용해주는 방식으로 세를 불리고 있다. 이 때문에 무리한 교섭안을 제시해 존재감을 부각해 회사와의 교섭에서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려는 전략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김희성 강원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일단 몸집을 부풀려서 지지 세력을 결집하고 세를 불려 개별 노조의 교섭력에서 우위를 가져가겠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무리한 요구에 “득보다 실이 클 것”잇따른 노조의 세력 강화에 삼성전자는 긴장하고 있다. 노조구성원 규모가 커질수록 강성화되고, 요구안을 관철하기 위한 쟁의행위가 잦아질 수 있어서다. 앞서 삼성디스플레이 노조, 삼성SDI울산노조 등 삼성 계열사 11개 조직인 삼성연대는 5.4%의 임금인상률을 요구한 바 있다.업계에선 기업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요구가 득보다 실을 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반도체에서만 15조원의 적자를 냈다. 올해 전망은 밝지 않다. 글로벌 경쟁 심화 속에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2위인 SK하이닉스와의 격차는 크게 줄어들었다.노사관계 전문가는 “극심해진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감안하면 이들의 ‘처우 개선’ 요구는 국민 정서와 동떨어진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김채연/곽용희 기자 why29@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2/19
삼성바이오 찾은 이재용 "과감한 도전 나서자"
1심 무죄 이후 첫 국내 현장경영사업전략·기술개발 현황 점검'제2 반도체'로 육성 의지 밝혀 작년 영업이익 1.1조 최대 실적내년 5공장 완공해 초격차 확대바이오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010년 차세대 먹거리로 낙점한 사업이다. 고(故) 이건희 회장이 만든 ‘반도체 신화’를 바이오로 이어가겠다며 전폭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그렇게 2011년 인천 송도의 허허벌판 갯벌에서 시작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DMO) 사업은 11년 만인 2022년 세계 1위(생산량 기준·60만4000L)로 올라섰다. 지난해 1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올리며 삼성그룹의 새로운 캐시카우로 자리 잡았다.삼성 바이오사업의 심장부를 이 회장이 찾았다. 지난 5일 ‘부당 합병·회계 부정’ 관련 선고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뒤 처음 찾은 국내 사업장이다. 이 회장은 현장에서 임직원들에게 “현재 성과에 만족하지 말고, 더 과감하게 도전하자. 더 높은 목표를 향해 미래로 나아가자”고 독려했다.○사업 13년 만에 최대치이 회장은 16일 삼성바이오로직스 송도 캠퍼스에서 4공장 생산라인을 점검하고, 한창 공사 중인 5공장 현장을 둘러봤다. 이 회장이 송도 바이오로직스 캠퍼스를 찾은 건 2022년 10월 4공장 준공식 이후 1년4개월 만이다.삼성의 미래 먹거리답게 바이오사업은 순항하고 있다. 회사 문을 연 지 10여 년밖에 안 됐는데도, 글로벌 제약사 14곳을 고객 리스트에 올렸다. 그사이 100여 명이던 임직원 수는 4500명으로 불었다. 그 결과 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3조7000억원, 영업이익 1조1000억원을 달성했다.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자회사 바이오에피스도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내년 4월부터 생산능력 18만L 규모인 5공장이 가동되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생산능력은 78만4000L로 2위권 업체들과의 격차를 더 벌린다.○초격차 이어가야시장의 관심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초격차’ 경쟁력을 이어 나갈 수 있느냐에 쏠려 있다. 생산 규모뿐 아니라 수익성 측면에서도 스위스 론자, 중국 우시바이오로직스, 일본 후지필름 등 글로벌 경쟁사를 따돌렸다는 평가지만, 바이오산업은 워낙 시장 상황이 빨리 바뀌는 만큼 방심할 수 없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이 회장이 “더 높은 목표를 향해 한계를 돌파하자”고 강조한 이유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CDMO를 넘어 신사업으로 초격차를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신사업 리스트에는 세계 바이오기업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는 ‘항체-약물 접합체’(ADC)도 있다. 올해부터 ADC 사업에 본격 뛰어들기로 했다. 2022년 8조원 규모였던 ADC 시장은 2026년 17조원으로 불어날 전망이다.투자도 계속 늘릴 계획이다. 2032년까지 7조5000억원을 투자해 송도에 제2 바이오캠퍼스를 조성할 계획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삼성물산과 함께 조성한 2400억원 규모의 라이프사이언스 펀드를 통해 미래 기술에 선제 투자를 늘릴 예정이다. 작년에는 난치성 뇌 질환 분야 신약을 개발하는 국내 기업 에임드바이오에 지분 투자했다.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등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2/16
복리후생
학자금지원
건강검진
휴양시설
동호회
카페테리아
식사제공
국민연금 고용보험 건강보험 산재보험 건강검진 및 의료비 지원(임직원/가족) 개인연금 지원 사내 피트니스센터 운영 사내 동호회 활동 지원 사내 북카페 운영 카페테리아 운영 사내 부속의원 및 약국 운영 학비 지원(유치원/초/중/고등/대학교) 사내 오프라인 어학강좌 바이오 아카데미 바이오 드림파트 어린이집 운영 휴양소 지원 선택적 복리후생제도 운영
평균연봉
4,366 만원
신규사원 평균연봉 (기준년월 2022.08)
6,397 만원
평균연봉 (기준년월 2022.08)
재무정보 및 상시근로자
매출액(2023.12 기준)
2조 9,387억 5,568만
(기준년월 2023.12)
20.57%
(작년대비)
영업이익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빼고 얻은 총 이익 중에서 일반 관리비와
판매비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순수하게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을 말합니다.

(2023.12 기준)
1조 2,041억 8,799만
(기준년월 2023.12)
24.39%
(작년대비)
당기순이익

일정 기간에 발생한 순이익을 말합니다.
순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 판매비, 관리비 등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2023.12 기준)
9,459억 2,032만
(기준년월 2023.12)
37.73%
(작년대비)
사원수 (2016.12 기준)
1550명
(2016년 사원수)
50.34%
(작년대비)
기업위치
(21987) 인천 연수구 송도바이오대로 300
많이 본 기업
1 / 6
한국사회보장정보원
보건복지분야사업,정보시스템 통합운영,관리
17년차 636명
평균연봉 4,329만원 채용중 0건 >
신한라이프생명보험(주)
생명보험,금융보험
36년차 1,497명
평균연봉 6,084만원 채용중 7건 >
(주)멀티캠퍼스
인터넷 위탁교육(기업교육,외국어교육,평가 등),컨텐츠 제공,소프트웨어 개발,시스템구축,판매
26년차 913명
평균연봉 6,014만원 채용중 14건 >
대한상공회의소
출판,광고/공제,소프트웨어,위탁교육훈련,유통정보 용역,사업 지원
49년차 200명
평균연봉 5,372만원 채용중 0건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 심사,평가,심사,평가기준개발,건강보험 조사연구,국제협력
26년차 2,494명
평균연봉 6,587만원 채용중 0건 >
(재)우체국물류지원단
우편물 송달/화물운송 대행/국제물류 주선,우정사업 연구개발
46년차 1,484명
평균연봉 4,888만원 채용중 0건 >
(사)한국플랜트산업협회
연구용역
1년차
평균연봉 5,463만원 채용중 0건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학술,기술 연구용역,소프트웨어 개발,공급/전자상거래/부동산 임대/기술 시험,검사,분석
60년차 719명
평균연봉 8,741만원 채용중 4건 >
(주)스카우트
취업정보제공/온라인정보제공,서적 출판,전산프로그램 개발,제조,판매/전기전자부품 제조/전자상거래/기관구내식당/전산센터운용(핸드폰개통에관한)
28년차 476명
평균연봉 3,040만원 채용중 2건 >
(주)네오바이오텍
의료용구,의료기기,치과재료 제조,도소매,무역,통신판매/부동산 임대/교육서비스
26년차 449명
평균연봉 4,209만원 채용중 0건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주)
타이어 제조
14년차 6,441명
평균연봉 5,646만원 채용중 30건 >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유)
택배
8년차 2,312명
평균연봉 3,857만원 채용중 6건 >
(주)컬리
전자상거래(식품,소비재,뷰티)
12년차 2,655명
평균연봉 3,206만원 채용중 2건 >
충남대학교병원
종합병원/의학 교육,연구
31년차 4,615명
평균연봉 7,046만원 채용중 1건 >
(재)충남테크노파크
재단/연구용역 대행,장비 임대,교육/부동산 임대,분양(매매)
1년차 112명
평균연봉 6,836만원 채용중 0건 >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융,복합기술 연구개발,공공인프라
50년차 658명
평균연봉 8,304만원 채용중 0건 >
대구교통공사
도시철도 운송/철도궤도공사/부동산 임대/광고 대행
31년차 2,391명
평균연봉 6,002만원 채용중 0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