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기업소개
1982년 10월 19일 설립
업력44년차
기업형태
일반법인, 대기업, 주식회사
사원수
2,484명
매출액 (2023년)
12조 7,852억 9,650만원
대표자 명
박종문
홈페이지
기업주소
서울 서초구 서초대로74길 11
주요사업내용
유가증권의 매매,위탁매매,인수주선
계열사
삼성 계열사 (60개 사)
에스코어(주) 에스디플렉스(주) 삼성물산(주) 삼성전자판매(주) 삼성벤처투자(주) 삼성생명서비스손해사정(주) (주)삼성글로벌리서치 (주)제일기획 (주)에스원 삼성에스디에스(주) 삼성증권(주) (주)미래로시스템 에이치디씨신라면세점(주) 오픈핸즈(주) (주)시큐아이 (주)서울레이크사이드 삼성생명보험(주) 삼성화재해상보험(주) 삼성자산운용(주) 삼성카드(주) 삼성이앤에이(주) 삼성바이오로직스(주) 세메스(주) 삼성선물(주) 삼성전기(주) 스테코(주) 삼성화재서비스손해사정(주) (주)휴먼티에스에스 에스원씨알엠(주) 에스티엠(주) 에스유머티리얼스(주) 제일패션리테일(주) 삼성바이오에피스(주) 삼성디스플레이(주) 삼성에스알에이자산운용(주) 삼성전자서비스씨에스(주) 삼성웰스토리(주) (주)하만인터내셔널코리아 에스비티엠(주) 삼성중공업(주) 삼성SDI(주) 삼성전자(주) 삼성전자서비스(주) 삼성화재애니카손해사정(주) 삼성코닝어드밴스드글라스(유) 삼성전자로지텍(주) (주)호텔신라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주)멀티캠퍼스 삼성카드고객서비스(주) 삼성헤지자산운용(주) (주)삼성라이온즈 (주)씨브이네트 삼성메디슨(주) (주)삼성생명금융서비스 삼성액티브자산운용(주) (주)삼성화재금융서비스보험대리점 신라에이치엠(주) 수원삼성축구단(주) (주)미라콤아이앤씨
연혁
2200 06
지점 고객예탁자산 200조 돌파
2024 06
SNI 고객 4천명 돌파
2024 03
대표이사 변경: 이종완 -> 박종문
2024 01
SNI패밀리오피스센터 오픈
2023 01
해외파생중개서비스 출시
2022 12
본점소재지 변경: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2가 6번지 '종로타워빌딩'
2022 02
세계최초 미국주식주간거래 서비스 론칭
2021 11
국내 금융사 최초, DJSI World 12년 연속 편입
2021 10
국내 ESG평가기관 KCGS A등급 획득
2021 07
업계최초 초고액자산가, 법인고객 예탁자산 100조 동시달성
2021 07
업계 최초, MSCI ESG평가 A등급 획득
2021 05
ESG위원회 신설
2021 04
관리 수수료를 전액 면제하는 '다이렉트IRP' 국내 최초 출시
2021 02
업계 최초, ESG 인증등급 채권 발행
2021 02
국내 금융사 최초, 중개형ISA 출시
2020 11
ESG연구소 신설, 첫 ESG보고서 발간
2020 11
삼성금융사 공동 '탈석탄 선언'
2020 11
국내 금융사 최초, DJSI World 11년 연속 편입
2020 06
지점 고객예탁자산 200조 돌파
2020 02
국내 금융사 최초, 싱가포르 주식시장 온라인매매서비스 개시
2019 09
국내 금융사 최초, DJSI World 10년 연속 편입
2019 09
캐나다 퀘벡주 연기금(CDPQ)과 인프라투자 관련 전략적 제휴 체결
2018 09
국내 금융사 최초, DJSI World 9년 연속 편입
2018 07
대표이사 변경 : 구성훈 -> 장석훈
2018 07
프랑스 소시에떼 제너럴(SG)증권 제휴 및 유럽주식 유니버스 개시
2018 03
대표이사 변경 : 윤용암 -> 구성훈
2017 09
국내 금융사 최초, DJSI World 8년 연속 편입
2017 08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보호실태평가 금융투자사 업계 유일전 부문 최고등급
2017 03
베트남 호치민증권 제휴 및 베트남 주식거래서비스 개시
2017 03
유상증자 실시(주주배정, 약 1,286만주 신주발행)
2016 12
본점소재지 변경 : 서울시 강남구 서초대로 74길 11(삼성전자빌딩)
2016 12
서초대로 삼성전자빌딩으로 본사이전
2016 12
업계 최초 초대형 금융센터 오픈(삼성타운, 강북, 강남)
2016 09
국내 금융사 최초, DJSI World 7년 연속 편입
2016 08
국내 증권사 최초, 대만 주식 거래 서비스 개시
2016 04
은행계좌-증권계좌 복합상품인 '우리삼성CMA보탬통장' 출시
2016 02
비대면 온라인 계좌개설 서비스 개시
2015 11
대표 사회공헌 사업 '청소년 경제증권 교실' 10주년
2015 09
국내 금융사 최초, DJSI World 6년 연속 편입
2015 04
삼성증권ㆍ우리은행 비계열 금융사간 최초 '금융복합점포' 오픈
2015 04
POP UMA 가입잔고 1조원 달성
2015 03
중국 중신(CITIC)증권과 전략적 제휴 관계 격상
2015 02
우리은행과 포괄적 업무제휴
2015 01
윤용암 대표이사 선임
2015 01
고객보호헌장 선포
2014 12
김남수 대표이사 직무대행 신규 선임
2014 12
김석 대표이사 사임
2014 07
고객 수익률 따라 수수료 받는 'POP UMA 성과보수형' 출시
2014 04
고객 맞춤형 랩서비스 'POP UMA' 출시
2014 02
글로벌 독립리서치기관 롬바드스트리트, BCA와 제휴
2014 01
고객중심 추천상품제 도입
2013 05
글로벌 선진 금융사 수준의 IT시스템, 차세대 시스템 오픈
2013 01
삼성증권 밸류스테이트먼트 선포식
2012 04
전 지점 은퇴영업 선포
2012 02
대표이사 변경 : 김석
2012 02
ANKOR 유전펀드 구조화 및 성공리 청약
2011 12
대표이사 사임 : 박준현 , 대표이사 직무대행 선임 : 안종업
2011 11
유상증자 실시 (주주배정, 960만주 신주발행)
2011 11
BCM(비즈니스연속성경영)국제 인증 획득
2011 09
국내기업 1호 대우인터내셔널 쇼군본드 발행주관 성공(2억불)
2011 09
국내 금융사 최초, DJSI World 2년 연속 편입
2011 08
삼성POP골든에그어카운트 출시
2011 04
지점 설치 : 역삼중앙지점
2011 04
고객감동 서비스 '공감36.5’ 론칭
2011 03
지점 설치 : SNI 서울파이낸스센터
2011 03
지점 설치 : 프리미엄지점
2011 03
지점 설치 : 서초중앙지점
2011 03
지점 설치 : 왕십리지점
2010 11
지점 설치 : 삼성증권 SNI 코엑스인터컨티넨탈
2010 09
지점 고객예탁자산 100조 돌파
2010 04
지점 설치 : FnHonors 일원지점
2010 04
지점 설치 : FnHonors 역삼지점
2010 04
지점 설치 : FnHonors 야탑지점
2010 01
지점 설치 : FnHonors 지산지점
2010 01
지점 설치 : FnHonors 공항터미널지점
2010 01
지점 설치 : FnHonors 구리지점
2010 01
지점 설치 : FnHonors 남울산지점
2010 01
지점 설치 : FnHonors 도곡렉슬지점
2010 01
지점 설치 : FnHonors 마포지점
2010 01
지점 설치 : FnHonors 명일동지점
2010 01
지점 설치 : FnHonors 보라매지점
2010 01
지점 설치 : FnHonors 올림픽지점
2010 01
지점 설치 : FnHonors 이수역지점
2010 01
지점 설치 : FnHonors 인동지점
2010 01
지점 설치 : FnHonors 죽전지점
2009 12
지점 설치 : FnHonors 청담지점
2009 12
본사 이전 : 서울 중구 태평로2가 250 삼성본관
2009 12
지점 설치 : 동경지점
2009 12
태평로 삼성본관으로 본사이전
2009 11
지점 설치 : FnHonors 태평로지점
2009 11
사무소 폐쇄 : 동경사무소
2009 09
누구나 누리는 자산관리 브랜드 'POP' 런칭
2009 05
브랜드 경영 선포, 브랜드 슬로건 ‘create with you’
2009 02
업종 변경 : 금융투자업
2009 01
사무소 설치 : 동경사무소
2008 08
지점 설치 : FnHonors시지지점
2008 08
지점 설치 : FnHonors춘천지점
2008 08
지점 설치 : FnHonors목포지점
2008 08
지점 설치 : FnHonors범일동지점
2008 06
대표이사 취임 : 박준현
2008 05
지점 설치 : FnHonors명일동지점
2008 03
지점 설치 : FnHonors갤러리아지점
2008 03
지점 설치 : 삼성에이치클럽지점
2007 12
지점 설치 : FnHonors이촌지점
2007 10
지점 설치 : FnHonors여수지점
2007 10
창립 25주년, 2020 Global Top 10 新비전 선포
2007 09
지점 설치 : 삼성에이치클럽지점
2007 09
지점 설치 : FnHonors범일동지점
2007 01
지점 설치 : FnHonors광화문지점
2006 08
지점 설치 : FnHonors마포지점, FnHonors춘천지점)
2006 07
영업소 폐쇄 : FnHonors종로타워점 폐쇄/지점 설치 : FnHonors호텔신라지점
2006 07
지점명칭 변경 : xx지점 -> FnHonors xx지점
2006 04
지점 설치 : 대치지점, 도곡렉슬 Branch
2005 09
지점 설치 : 압구정지점
2005 04
지점 설치 : 도곡지점
2005 04
전 영업직원 Private Banker화 선언
2005 01
지점 설치 : 이태원,장안동,구리,돈암동,광명,성남,야탑,의정부,구포,온양,신목동,송파,안양,남울산,서울대역,사당지점
2004 12
지점 설치 : 대전,독산,수원남문,마두지점
2004 11
사무소 폐쇄 : 동경사무소
2004 05
지점 설치 : 정자동지점
2004 04
지점 설치 : 서울,부산,광주,경인주식전문지점
2004 02
영업소 폐쇄 : 인동영업소
2004 02
지점 이전 : 역삼지점, 군산지점, Fn Honors광화문지점
2004 02
지점 이전 : 강남역지점
2003 09
지점 이전 : 청주지점
2003 08
지점 설치 : 야탑지점
2003 07
광주주식전문지점, 부산주식전문지점 개점
2003 06
지점 설치 : 동수원 지점, 목포지점, 북광주지점, 전주중앙지점, 서귀포지점 외
2003 05
지점 사무소화 : 동경지점 -> 동경사무소
2003 04
지점 설치 : 신목동 지점
2003 03
지점 설치 : 돈암동 지점
2003 03
지점 설치 : 서울주식전문지점
2003 03
지점 설치 : 경인주식전문지점
2003 02
fn honors 타워팰리스점 개점
2003 01
지점 설치 : 결제팀(지점)
2002 12
지점 설치 : 수원남문 지점
2002 12
영업부 이전 : 영업부, fn honors영업부
2002 12
본사 이전 : 서울 종로구 종로2가 6번지 종로타워빌딩
2002 12
종로타워로 본사 사옥이전
2002 11
사무소 설치 : 상해사무소
2002 09
지점 설치 : 마두지점
2002 09
지점 이전 : 익산지점
2002 06
지점 이전 : 분당지점
2002 06
지점 설치 : 독산지점
2002 06
영업소 지점화 : 서귀포영업소 -> 서귀포지점
2002 05
지점 설치 : 대전지점
2002 02
지점 이전 : 의정부지점
2002 01
지점 이전 : 투신법인지점
2001 11
지점 이전 : 경주지점/지점 이전 : 구의지점
2001 11
영업소 설치 : S&I CLUB 테헤란점
2001 10
지점 이전 : 안산지점
2001 09
지점 : 금정지점, 김포지점, 남천지점, 이촌지점 외
2001 08
영업소 폐쇄 : 봉덕동영업소, 복현동영업소, 원대영업소, 송현동영업소
2001 08
지점 폐쇄 : 시지지점
2001 08
지점 이전 : 영통지점
2001 07
영업소 지점화 : 목포영업소 -> 목포지점
2001 06
지점 폐쇄 : 삼풍지점
2001 04
지점 폐쇄 : 칠곡지점
2001 03
지점 설치 : 김해지점
2001 01
사무소 지점화 : 동경사무소 -> 동경지점
2000 12
지점 설치 : 김포지점
2000 12
지점 설치 : 마포지점
2000 12
지점 설치 : 가락지점, 상인지점, 마포지점, 투신지원팀 외
2000 12
흡수 합병 : 삼성투자신탁증권(주)
2000 12
삼성투자신탁증권(주) 흡수합병 업무제휴
2000 11
사무소 설치 : 동경사무소(현지지점)
2000 11
영업소 설치 : S & I CLUB 광화문점
2000 11
지점 설치 : 연시내지점
2000 07
지점 설치 : 수지지점
2000 06
지점 설치 : 구리지점
2000 05
지점 설치 : 천안지점
2000 03
영업소 설치 : 사이버지점(BANCURITIES)
2000 03
영업소 설치 : S&I CLUB 청당점
2000 02
지점 설치 : 양천지점
2000 01
지점 설치 : 도곡지점
1999 12
영업소 설치 : 사이버영업소 마포CYBER+
1999 12
영업소 설치 : 사이버영업소 구의 CYBER+
1999 09
지점 설치 : 의정부지점
1999 09
지점 설치 : 둔산중앙지점
1999 08
지점 설치 : 원주지점
1999 08
지점 설치 : 명일동지점
1999 08
지점 설치 : 평촌지점
1999 08
지점 설치 : 이태원지점
1999 08
지점 설치 : 대구서지점
1999 08
지점 설치 : 송파지점
1999 07
지점 설치 : 사당지점
1999 07
지점 설치 : 성남지점
1999 07
지점 설치 : 미금역지점
1999 07
지점 설치 : 구포지점
1999 07
지점 설치 : 장충지점
1999 07
지점 설치 : 과천지점
1999 07
지점 설치 : 군산지점
1999 06
지점 설치 : 안산지점
1999 06
지점 설치 : 거제지점
1999 06
지점 설치 : 춘천지점
1999 06
지점 설치 : 춘천지점
1999 06
지점 설치 : 광명지점
1999 06
지점 설치 : 진주지점
1999 06
지점 설치 : 청량리지점
1999 05
지점 설치 : 해운대지점
1999 05
지점 설치 : 순천지점
1999 05
지점 설치 : 천호지점
1999 04
지점 설치 : 지점 설치(서울대역지점)
1999 03
지점 설치 : 강서지점, 강남역지점
1999 03
지점 설치 : 방배지점
1999 03
지점 설치 : 구로지점
1999 03
지점 설치 : 장안지점
1999 03
지점 설치 : 부천지점
1999 02
지점 설치 : 종로지점
1999 02
지점 설치 : 신사지점
1999 02
지점 설치 : 주안지점
1999 01
지점 설치 : 수유지점
1998 12
지점 설치 : 영통지점
1998 12
국내최초 뮤추얼펀드 판매 개시
1998 08
지점 설치 : 익산지점
1998 08
지점 설치 : 목동지점
1998 08
지점 설치 : 강릉지점
1998 07
지점 설치 : 동수원지점
1998 07
지점 설치 : 신대방지점
1998 07
지점 설치 : 여의도지점
1998 07
지점 설치 : 온양지점
1998 07
지점 설치 : 삼풍지점
1998 07
지점 설치 : 동래지점
1998 07
지점 설치 : 제주지점
1998 07
지점 설치 : 대치지점
1998 07
지점 설치 : 청담지점
1998 06
지점명 변경 및 이전 : 서교지점 -> 신촌지점
1998 06
지점명 변경 및 이전 : 대전지점 -> 둔산지점
1998 05
지점 설치 : 안양지점
1998 05
지점 설치 : 서광주지점
1998 05
지점 설치 : 역삼지점
1998 03
지점 설치 : 청주지점
1998 03
지점 설치 : 마산지점
1998 03
지점 설치 : 종합운동장지점
1997 11
지점 설치 : 포항지점
1997 09
영업소 설치 : 마산 영업소
1997 09
영업소 설치 : 익산 영업소
1997 05
영업소 설치 : 부산 범천동 영업소
1996 11
지점 설치 : 강남지점
1996 11
지점 설치 : 전주지점
1996 10
지점 설치 : 울산지점
1996 09
지점 설치 : 서교지점
1996 09
지점 설치 : 서초,양재지점
1996 09
지점 설치 : 분당지점
1996 08
지점 설치 : 일산지점
1996 07
지점 설치 : 부산역지점
1996 07
지점 설치 : 구미지점
1996 03
지점 설치 : 대전지점
1996 03
지점 설치 : 잠실지점
1995 12
사무소 설치 : 뉴욕사무소
1995 11
사무소 설치 : 홍콩사무소
1995 11
사무소 설치 : 동경사무소
1995 09
지점 설치 : 부평지점
1995 08
지점 설치 : 광화문지점
1995 06
지점 설치 : 창원지점
1995 04
지점 설치 : 부산범일동지점
1995 04
본사 이전 : 서울 중구 을지로2가 6번지 내외빌딩
1994 12
사무소 설치 : 해외사무소(인가)
1994 11
지점 설치 : 광주지점
1994 11
지점 설치 : 삼성동지점
1994 09
지점 설치 : 영등포지점
1994 07
기업 인수 : 삼성정밀화학(구.한국비료)
1994 06
회사채 지급보증업무 겸영인가
1994 03
지점명 변경 및 이전 : 동성로지점 -> 대구 중앙지점
1993 11
지점명 변경 및 이전 : 서초지점 -> 반포지점
1993 09
지점 이전 : 부산지점
1993 06
지점 이전 : 의정부지점
1993 03
지점 설치 : 태평로지점
1993 03
지점 설치 : 개포,수원지점
1993 01
지점 설치 인가 : 개포,수원,태평로 지점
1992 11
상호 변경 : 삼성증권(주)
1992 11
삼성증권으로 상호변경
1992 11
삼성그룹으로 편입
1992 10
지점 설치 : 서초지점
1992 09
삼성그룹으로 피인수
1992 07
지점 설치 : 동성로지점
1992 01
지점 설치 : 대구지점
1991 10
지점 설치 : 의정부지점
1991 09
지점 설치 : 명동지점
1991 09
지점 설치 : 부산지점
1991 07
지점 설치 : 압구정지점
1991 07
본사 증권업 영업개시
1991 03
증권업전환 내인가
1991 02
상호 변경 : 국제증권(주)
1988 03
기업공개
1982 10
한일투자금융(주) 설립(서울 중구 을지로2가 6)
1982 10
창립총회, 회사설립 등기
기업뉴스
와이즈넛, 코스닥 상장 본격화… 상장 예심 신청
인공지능(AI) 전문기업 와이즈넛(대표 강용성)이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청구서를 지난 25일 한국거래소에 제출하며 본격적인 기업공개(IPO) 절차에 착수했다고 26일 밝혔다.와이즈넛은 지난해부터 삼성증권을 대표 주관사로 선정해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이다. 지난해 12월 진행된 기술성 평가에서는 23년부터 새롭게 변경된 엄격한 평가기준 하에서도 A-A등급을 획득하였다.와이즈넛은 2000년 설립된 국내 인공지능 기업으로, 자체 개발한 독자적인 자연어처리기술 기반의 인공지능(AI) 검색, 분석, 챗봇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24년간 5,000여곳 이상의 고객사를 대상으로 쌓아온 사업 수행 경험과 노하우, 기술력 등을 통해 최근 RAG(검색증강생성) 기반의 생성형AI 솔루션을 선보이며 대화형 인공지능 사업 영역을 더욱 확대해 나가고 있다.특히 초거대AI, LLM 등 새롭게 창출될 국내외 B2B시장에서 RAG를 포함한 생성형AI, 다크데이터, MLOps 등 지속적으로 신사업을 확대함으로써 26년도까지 매출 1천억원을 목표하고 있다.한편 와이즈넛은 지난해 매출액 352억원, 영업이익 34억 5,700만원을 기록하며 11년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확대 실현하였다.이러한 이익 실현을 통해 와이즈넛은 적극적인 이익환원 및 주주친화 경영을 모토로 매년 현금배당을 실시해왔다. 회사 관계자는 “이러한 실천은 동종업계 및 SW중소기업 중에는 드문 좋은 케이스이며, 상장 이후에도 안정적인 배당 정책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강용성 와이즈넛 대표는 “와이즈넛은 코스닥 상장을 성공적으로 마쳐 SW기업의 핵심 경쟁력인 IT 및 AI 분야 핵심인재 확보와 기술 연구에 적극 투자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국내 SW시장을 넘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공지능 대표 기업으로 확실히 자리매김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4/26
와이즈넛, 11년 연속 영업이익 흑자…연내 코스닥 상장·IPO 추진
인공지능(AI) 전문기업 와이즈넛(대표 강용성)이 지난해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전 부문 흑자를 달성했다고 9일 밝혔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와이즈넛은 지난해 매출액 351억7200만원, 영업이익 34억5700만원, 당기순이익 42억6700만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2% 상승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2%, 173% 증가한 수치다.이러한 성장은 자체 AI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충실하게 인공지능 챗봇 및 검색, 분석 사업을 이어나간 결과로 풀이된다.와이즈넛은 24년 업력의 언어처리기술 기반 인공지능 전문기업이다. 국내 최다 AI 사업 레퍼런스를 통해 쌓아온 노하우와 더불어, 최근 독자적으로 개발한 RAG(검색증강생성)기술에 검색, 챗봇 등 인공지능 솔루션을 접목하여 성능을 높인 생성형AI 솔루션을 선보이며 사업 영역을 더욱 확대해 나가고 있다.특히 올해 국내에서의 성장을 바탕으로 일본, 아세안(ASEAN), 중동 지역 등 글로벌 사업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행보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강용성 대표는 “지난해 경기침체와 생성형AI의 등장으로 치열한 격변기를 맞이했던 불확실한 시장 상황 속에서도 동종업계 중 유일하게 11년 연속 영업이익 흑자 달성이다”며 “와이즈넛의 경영 실적을 통해 AI 기술력 입증은 물론이고, 인공지능 선도기업의 저력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계기가 됐다. 올해는 국내 시장에서의 도약과 더불어 적극적인 글로벌 신사업 확대를 도모하고, 고도화된 AI 기반 기술 확보를 위한 R&D 투자에 더욱 집중해 외형과 내실을 모두 잡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와이즈넛은 연내 코스닥 상장 및 IPO(기업공개)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대표주관사는 삼성증권이며, 최근 기술성 평가 통과로 AI 기술력에 대한 검증을 마친 상태다. 모든 상장 트랙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가장 적합한 방법을 검토 중이며,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청구를 앞두고 있다.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4/09
웨인힐스, TTV(Text to Video)로 제작한 영상 유튜브 공개
인공지능 스타트업 웨인힐스브라이언트 A.I(이하 웨인힐스, 대표 이수민)가 자사 인공지능 영상 솔루션 TTV(Text to Video)로 제작한 영상을 유튜브 공식 채널을 통해 공개했다고 8일 밝혔다.TTV는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나 음성 데이터를 요약해 완성된 2D, 3D, 실사 영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입력한 텍스트를 도출된 키워드에 적합한 영상 등을 생성할 수 있다.이번에 공개된 영상의 분량은 33초로, ‘숲 속 정원에 강물이 흐르고, 밤에는 불꽃놀이가 터지는 장면을 연출해줘’라는 프롬프트를 입력해 생성된 것으로 알려졌다.울창한 수풀을 헤치고 흐르는 맑은 강물에 밤하늘의 별이 반사되며 평화로운 풍경을 담아낸 영상은 멀리서 번쩍이는 불빛을 시작으로 급격히 분위기를 전환하여 화려한 불꽃의 향연이 펼쳐졌다. 물에 반사되는 나무와 불꽃 등이 정교하게 표현됐고 카메라 구도의 변경으로 더욱 자연스러운 느낌을 준다. 4K의 고화질까지 구현했다.또한 영상에 학습된 모든 메타데이터들은 저작권에 문제없는 셔터스톡 등과 라이센스 계약을 통해 새로운 영상생성 합성이 가능하게끔 했다.웨인힐스 관계자는 “국내 시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용될 만한 생성형 AI를 이용한 영상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TTV로 제작한 영상은 광고, 영화, 게임 등에 최적화돼 있어 상용화되면 다양한 분야에서 급격한 변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최근 오픈AI에서 진행중인 소라 인공지능 동영상 제작툴이 이슈가 되면서 오픈AI에서 헐리우드, 워너브라더스, 파라마운트 등 계약, 파트너쉽, 투자 타진을 진행 중이다”고 덧붙였다.한편 웨인힐스는 삼성증권에서 발간한 ‘생성 AI, 인공지능의 한계를 극복하다’ 리포트에서 비상장 분야 생성 AI 기업 톱티어로 선정했으며, 2020년도 마이크로소프트 마켓플레이스 TTV AI기능을 기업용으로 배포하여 130만가입자를 유치했다.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4/08
"사우디 거점 확보"…CTR, IPO 시동
삼성증권·한국투자증권 공동주관사2025년 하반기 상장 목표글로벌 자동차 부품 기업 씨티알(CTR)이 삼성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을 공동주관사로 선정하고 2025년 하반기를 목표로 기업공개(IPO) 절차에 착수하기로 했다.CTR에 따르면 IPO를 통해 조달될 공모자금은 사우디를 포함한 해외 거점 확보, 로봇 자동화 투자, 신성장 동력 발굴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고 자동차 부품 산업에서의 대장주로 거듭나겠다는 계획이다.CTR은 B2B와 B2C 시장을 아우르며 고속 성장을 일궈 온 글로벌 자동차 부품 기업이다. 일반적으로 B2B 시장에만 집중하는 다른 자동차 부품 기업과 달리, B2C 영역에서 글로벌하게 알려진 브랜드 인지도를 기반으로 제조, 유통, 물류에 이르는 사업 모델을 갖추며 서로 간의 시너지를 통해 최근 몇 년 간 높은 성장률을 구가하고 있는 기업이다.완성차 기업에 자동차 부품을 공급하는 OEM 사업 부문은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중국 전기차 브랜드를 포함한 전기차와 친환경차 등에 충분한 수주잔고를 확보하고 있다. 70% 이상의 매출이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다. AM 사업 부문은 최근 5년간 매년 15% 이상씩 성장하고 있다. CTR 브랜드로 여타 미국, 유럽 브랜드를 제치고 10여 개국 이상에서 1위를 하고 있다.2025년 IPO를 통해 확보된 공모 자금은 최근 화제가 되었던 사우디아라비아와의 합작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주요 해외 거점 진출에 활용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향후 스마트 제조 공정 혁신을 위한 공정 자동화 설비 확충에 투자한다. 유연한 제조환경을 조성하고 고객 맞춤 현지화 전략을 꾀할 계획이다. B2C 사업에서는 CTR과 유사하게 운영되는 자동차 부품 AM 브랜드의 M&A를 통해 소비재 영역의 P&G와 같이 자동차 부품업계의 ‘글로벌 브랜드 그룹’으로 발돋움할 예정이다.CTR 관계자는 “굴지의 국내외 완성차 기업과의 B2B 사업으로 매출 안정을 도모하고 AM 비즈니스로 성장성과 수익성을 높이고 있다”라며 “질적ㆍ양적 성장을 위한 아낌없는 투자로 상각 전영업이익 (EBITDA)을 꾸준히 높여가겠다”라고 전했다.최형창 기자 calling@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4/04
10년 전부터 움직인 日 석유화학
韓에 생산 능력 역전당하자NCC 설비 축소 등 구조조정헬스케어·반도체 등 사업 성과일본 석유화학 업체들은 10년 전부터 에틸렌을 생산하는 나프타분해시설(NCC) 공장을 정리하는 등 꾸준히 사업 구조를 재편하고 있다. 한국 석유화학 기업의 공격적인 증설로 에틸렌 생산능력에서 뒤처지면서 가격 경쟁력을 잃었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 기업들의 잇따른 증설 여파로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에 나선 한국 석유화학 기업들이 10년 전 일본의 전철을 밟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12일 삼성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석유화학 기업들의 에틸렌 생산 능력은 연 682만t으로, 한국(연 1266만t)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1990년만 해도 일본 에틸렌 생산능력은 연 590만t으로 한국보다 4.6배 많았다. 그러나 한국 기업이 잇따라 증설에 나서며 2012년 초 역전됐다. 일본 기업들은 2014년부터 NCC 설비를 줄이기 시작해 2023년까지 14.7% 감소했다.이에 일본 신에츠화학, 미쓰비시화학, 스미토모화학의 매출 가운데 범용 석유화학 비중은 2022년 45% 수준으로 축소됐다. 반면 LG화학, 롯데케미칼, 한화솔루션, 금호석유화학이 범용 제품으로 내는 매출은 전체의 59%에 이른다. 10년 전부터 구조조정에 들어간 일본 기업은 최근 들어서도 사업 철수 및 설비 폐쇄 계획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일본 석유화학 기업이 진출한 신사업은 헬스케어, 배터리·반도체 소재 등이다. 인구 구조 고령화에 따라 여러 기업이 헬스케어 사업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아사히카세이는 배터리 소재인 분리막 생산공장을 증설하며 점유율 1위로 올라섰다. 삼성증권은 “사업 재편에 성공한 일본 석유화학 업체의 주가(3월 초 기준)는 작년 1월 대비 평균 43% 올랐지만 같은 기간 한국 석유화학 기업 주가는 평균 23% 떨어졌다”고 설명했다.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3/12
삼성 올해 상반기 공채 시작…채용 규모 1만명 안팎 예상
11일부터 상반기 공채 시작…19개 계열사 참여일자리 확대 위해 2022년부터 5년간 8만명 채용삼성은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오는 11일부터 올해 상반기 공채를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채용 규모는 1만명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상반기 공채를 실시하는 계열사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삼성SDI △삼성SDS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증권 △삼성자산운용 △호텔신라 △제일기획 △에스원 △삼성글로벌리서치 △삼성웰스토리 등 19곳이다.공채 지원자들은 이달 11일부터 18일까지 채용 홈페이지 삼성커리어스를 통해 입사를 희망하는 회사에 지원서를 접수할 수 있다. 지원서 접수 후에는 △온라인 삼성직무적성검사 GSAT(4월) △면접(5월) △건강검진 순으로 채용 절차가 진행된다.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디자인 등 일부 직군의 경우 소프트웨어 역량 테스트와 디자인 포트폴리오 심사를 실시한다.삼성은 양질의 국내 일자리를 확대하기 위해 2022년부터 5년간 8만명을 채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삼성은 연구개발(R&D)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입사원 공채 외에도 국내 경력직, 우수 외국인 유학생 채용을 병행하고 있다. 삼성은 외부 영입 인재와 외국인들이 회사에서 마음껏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유연하고 수평적인 조직문화 조성에도 힘쓰고 있다.삼성은 국내 주요 그룹 중 유일하게 신입사원 공채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은 1957년 국내 기업 최초로 공채 제도를 도입한 이후 '인재제일(人材第一)' 경영철학에 따라 능력 중심의 인사를 구현하기 위해 지속적인 인사제도 혁신을 추진해 왔다. 1993년 국내 최초로 대졸 여성 신입사원 공채 제도를 신설하고, 1995년에는 입사 자격요건에서 학력을 제외하는 등 관행적 차별을 철폐했다. 회사 관계자는 "삼성은 우수한 인재를 공정하게 선발하고 직원들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채용 및 인사제도 혁신을 지속할 방침"이라고 전했다.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3/10
복리후생
학자금지원
건강검진
리프레시휴가
휴양시설
동호회
카페테리아
주거안정 지원 : 주택구입 및 전세자금 지원 사택지원 및 사택임차 보증금 지원 보건/건강 지원 : 정기 건강검진 실시 치과진료 포함 각종 의료비 지원 삼성 레포츠센터 이용 자녀교육비 지원 : 유치원에서 대학교까지 자녀들의 학자금 지원 기타 : 4대보험(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가입단체상해보험 가입장기근속 휴가 및 휴가비 지원 카페테리아식 복리후생 제도각종 콘도 및 휴양시설(캐리비언 베이) 지원각종 경조휴가 및 경조금 지원 동호회 활동 및 운영 지원
평균연봉
4,455 만원
신규사원 평균연봉 (기준년월 2022.08)
6,654 만원
평균연봉 (기준년월 2022.08)
재무정보 및 상시근로자
매출액(2023.12 기준)
12조 7,852억 9,650만
(기준년월 2023.12)
-2.57%
(작년대비)
영업이익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빼고 얻은 총 이익 중에서 일반 관리비와
판매비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순수하게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을 말합니다.

(2023.12 기준)
6,620억 2,520만
(기준년월 2023.12)
26.74%
(작년대비)
당기순이익

일정 기간에 발생한 순이익을 말합니다.
순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 판매비, 관리비 등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2023.12 기준)
4,834억 7,945만
(기준년월 2023.12)
28.07%
(작년대비)
사원수 (1996.3 기준)
791명
(1996년 사원수)
4.77%
(작년대비)
기업위치
(06620) 서울 서초구 서초대로74길 11
많이 본 기업
1 / 6
한국사회보장정보원
보건복지분야사업,정보시스템 통합운영,관리
17년차 636명
평균연봉 4,329만원 채용중 0건 >
신한라이프생명보험(주)
생명보험,금융보험
36년차 1,497명
평균연봉 6,084만원 채용중 7건 >
(주)멀티캠퍼스
인터넷 위탁교육(기업교육,외국어교육,평가 등),컨텐츠 제공,소프트웨어 개발,시스템구축,판매
26년차 913명
평균연봉 6,014만원 채용중 14건 >
대한상공회의소
출판,광고/공제,소프트웨어,위탁교육훈련,유통정보 용역,사업 지원
49년차 200명
평균연봉 5,372만원 채용중 0건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 심사,평가,심사,평가기준개발,건강보험 조사연구,국제협력
26년차 2,494명
평균연봉 6,587만원 채용중 0건 >
(재)우체국물류지원단
우편물 송달/화물운송 대행/국제물류 주선,우정사업 연구개발
46년차 1,484명
평균연봉 4,888만원 채용중 0건 >
(사)한국플랜트산업협회
연구용역
1년차
평균연봉 5,463만원 채용중 0건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학술,기술 연구용역,소프트웨어 개발,공급/전자상거래/부동산 임대/기술 시험,검사,분석
60년차 719명
평균연봉 8,741만원 채용중 4건 >
(주)스카우트
취업정보제공/온라인정보제공,서적 출판,전산프로그램 개발,제조,판매/전기전자부품 제조/전자상거래/기관구내식당/전산센터운용(핸드폰개통에관한)
28년차 476명
평균연봉 3,040만원 채용중 2건 >
(주)네오바이오텍
의료용구,의료기기,치과재료 제조,도소매,무역,통신판매/부동산 임대/교육서비스
26년차 449명
평균연봉 4,209만원 채용중 0건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주)
타이어 제조
14년차 6,441명
평균연봉 5,646만원 채용중 30건 >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유)
택배
8년차 2,312명
평균연봉 3,857만원 채용중 6건 >
(주)컬리
전자상거래(식품,소비재,뷰티)
12년차 2,655명
평균연봉 3,206만원 채용중 2건 >
충남대학교병원
종합병원/의학 교육,연구
31년차 4,615명
평균연봉 7,046만원 채용중 1건 >
(재)충남테크노파크
재단/연구용역 대행,장비 임대,교육/부동산 임대,분양(매매)
1년차 112명
평균연봉 6,836만원 채용중 0건 >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융,복합기술 연구개발,공공인프라
50년차 658명
평균연봉 8,304만원 채용중 0건 >
대구교통공사
도시철도 운송/철도궤도공사/부동산 임대/광고 대행
31년차 2,391명
평균연봉 6,002만원 채용중 0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