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기업소개
1991년 04월 13일 설립
업력35년차
기업형태
일반법인, 대기업, 주식회사
사원수
4,316명
매출액 (2023년)
4조 1,370억 3,000만원
대표자 명
최태원/장용호
홈페이지
기업주소
서울 종로구 종로 26
주요사업내용
지주회사/시스템통합(SI), 정보통신사업 관련 컨설팅,조사용역,정보통신기술 연구개발/정보통신기기,소프트웨어 개발,도매
계열사
SK 계열사 (143개 사)
(주)부산도시가스 (주)아이티엠티시 (유)로지소프트 리뉴에너지경인(주) (주)리뉴로지스 에스케이피아이씨글로벌(주) 인크로스(주) 리뉴에너지경기(주) SK텔레콤(주) SK(주) 아이파킹(주) 민팃(주) 에스케이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 (주)대한송유관공사 여주에너지서비스(주) 에스케이엔펄스(주) (주)제이에스아이 (주)엔코아 클린에너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 브로드밴드노원방송(주) 에스케이온테크플러스(주) 전북에너지서비스(주) SKC(주) 강원도시가스(주) (주)유엔에이디지탈 리뉴에너지경북(주) 리뉴에너지충청(주) 울산아로마틱스(주) 리뉴랜드경주(주) 에스케이엔무브(주) 울산지피에스(주) 부산정관에너지(주) 경산맑은물길(주) 삼강에스앤씨(주) 피에스앤마케팅(주) 에스케이바이오팜(주) 에스케이바이오텍(주) 한국넥슬렌(유) 에스케이플라즈마(주) 에스케이핀크스(주) 에스케이레조낙(주) 홈앤서비스(주) 에스케이하이닉스시스템아이씨(주) 원스토어(주) 행복모아(주) 에프에스케이엘앤에스(주) 에스케이트리켐(주) 에스케이스토아(주) 에스케이인천석유화학(주) 십일번가(주) 유베이스매뉴팩처링아시아(주) 에프앤유신용정보(주) 당진에코파워(주) 에스케이텔레콤씨에스티원(주) 에스케이하이이엔지(주) 서울공항리무진(주) 행복나래(주) 전남도시가스(주) 에스케이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주) 에스케이하이스텍(주) 행복채움(주) 제주유나이티드에프씨(주) 에스케이오앤에스(주) 서비스에이스(주) 서비스탑(주) 충청에너지서비스(주) 코원에너지서비스(주) 카티니(주) 해솔라에너지(주) 엔티스(주) (주)아이에스시 에스케이네트웍스서비스(주) 에스케이디앤디(주) 에스케이오션플랜트(주) (주)유엔에이엔지니어링 에스케이멀티유틸리티(주)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주) 티맵모빌리티(주) 전남해상풍력(주) 에스케이머티리얼즈그룹포틴(주) 리뉴리퀴드서남(주) 리뉴리퀴드호남(주) 리뉴에너지충북(주)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주) 에스케이어드밴스드(주) (주)아이에스시엠 에스케이머티리얼즈퍼포먼스(주) 에스케이에코엔지니어링(주) 에스케이매직(주) 에스케이실트론(주) (주)에스엠코어 리뉴랜드신경주(주) 리뉴원(주) (주)원폴 (주)굿스플로 에스케이케미칼(주) 영남에너지서비스(주) SK가스(주) 블룸에스케이퓨얼셀(유) SK이노베이션(주) 에스케이디스커버리(주)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내트럭(주) 에스케이머티리얼즈제이엔씨(주) 에스케이아이이테크놀로지(주) 에스케이하이닉스(주) (주)신안증도태양광 콘텐츠웨이브(주) 에스케이텔링크(주) SK네트웍스(주)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 에스케이엠앤서비스(주) 에스케이온(주) 에스케이임업(주) 아이지이(주) 에스케이매직서비스(주) 에스케이스퀘어(주) 나래에너지서비스(주) 에스케이리츠운용(주) 마인드노크(주) 아이디퀀티크(유) (주)휘찬 파주에너지서비스(주) 지에너지(주) 당진행복솔라(주) 에스케이케미칼대정(주) 에스케이어스온(주) (주)드림어스컴퍼니 성주테크(주) (주)더비즈 프롭티어(주) (주)와이엘피 디앤디프라퍼티매니지먼트(주) 디앤디인베스트먼트(주) 에스케이키파운드리(주) 리뉴어스(주) 에스케이넥실리스(주) 굿서비스(주) 파킹클라우드(주) 에스케이플래닛(주) 에스케이에너지(주) 에스케이지오센트릭(주) 에스케이스페셜티(주)
연혁
2024 10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2024년 SK Inc.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2024 06
신탁계약으로 취득한 자기주식 695,626주 소각 완료
2024 05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해지 (기간 만료) (총 취득수량 : 695,626주)
2024 03
대표이사 장동현 사임, 대표이사 장용호 선임
2023 10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계약기간: 2023.11.01~2024.05.02, 계약금액: 1,200억원)
2023 04
신탁계약으로 취득한 자기주식 951,000주 소각 완료
2022 03
이사회 전문성 및 역량측정 지표 BSM (Board Skills Matrix) 도입
2022 03
당사 및 자회사 임원 대상 상여금 지급 목적의 자기주식 처분 결정(처분일자: 2022.03.04, 처분주식수: 보통주 33,531주)
2021 12
구, SK머티리얼즈(주) 흡수합병 완료(합병기일: 2021.12.01), 보통주 발행주식총수 3,789,032주 증가
2021 08
SK머티리얼즈(주)와의 합병계약 승인
2021 06
에스케이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주) 유상증자 참여 결정 (취득일자: 2021.07.02, 2021.07.05)
2021 04
이사회 및 위원회 규정 제ㆍ개정을 통한 이사회 중심 책임경영 강화
2021 04
주식회사 시그넷이브이 출자 및 유상증자 참여 결정 (취득일자: 2021.08.12)
2021 03
YPOSKESI, SAS (사) 지분 투자를 위하여 해외 자회사 (SK Pharmteco Inc.) 증자 참여
2021 03
제30기 정기주주총회 정관 일부 변경 결의를 통해 영문 사명 변경, '투자전문회사' 정체성 반영
2021 02
Plug Power (사) 지분 투자를 위하여 해외 자회사 (Plutus Capital NY, Inc.) 증자 참여
2020 12
에스케이핀크스(주) 지분 인수를 위한 (주)휘찬 유상증자 결정
2020 11
최대주주 변동: 최태원, 최기원, 김신배, SK텔레콤,SK주식회사 (구, 에스케이씨앤씨주식회사)
2020 06
자기주식 처분 결정,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의해 취득한 자기주식의 법 상 처분 의무 이행(처분일자 : 2020. 7.22 (매매일 기준), 처분주식 : 보통주 2,546주 /
2020 06
에스케이바이오팜(주) 기업공개 공모 진행 및 당사 구주매출에 따라 당사 지분율 변동 (100% -> 75%)
2020 03
박성하 대표이사 취임
2019 12
자기주식 취득(취득기간 : 2019.10.2 ~ 2019.12.11 (매매일 기준), 취득주식 : 보통주 3,520,000주 / 취득금액 9,059억)
2019 10
주가안정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자기주식 취득을 결정함취득기간 : 2019.10.2 ~ 2020.1.1 (매매일 기준), 취득 예정주식 3,520,000주
2019 09
에스케이바이오텍(주), SK Biotek Ireland Ltd, SK Biotek USA INC.의 지분 전량을 美 Alchemy Acquisition Corp. (이하 'AAC')에 양도(현물출자)하고, 그 대가
2019 06
SK바이오텍 현물배당 및 유상감자를 통한 SK Biotek Ireland Limited, SK Biotek USA Inc. 주식 취득 결정
2019 03
제28기 정기주주총회 정관 변경 결의를 통해 대표이사로 제한된 이사회 의장 자격 요건 폐지,제4차 정기이사회에서 염재호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
2019 03
Blue Racer Midstream社 지분 투자를 위하여 해외 자회사 (Plutus Capital NY, Inc.) 증자 참여
2019 01
美 변색유리제조업체 Kinestral社 투자
2019 01
동남아 지역 투자를 위해 SK South East Asia Investment Pte. Ltd. 증자 결정
2018 12
SK해운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종결에 따라 최대주주 변경(당사 지분율 감소)
2018 11
中 동박사업 투자를 위한 해외자회사 출자
2018 10
보안솔루션 사업영역 시너지 창출을 위해 SK텔레콤, SK인포섹 간의 포괄적 주식교환 계약 결정
2018 09
美 'Rails International, LLC' 지분투자를 위해 자회사 Plutus Fashion NY, Inc 증자
2018 07
미국 CMO업체 AMPAC 인수 결정
2018 07
주주친화 경영강화를 위해 중간배당 결정
2018 07
동남아 지역 투자를 위해 SK South East Asia Investment Pte. Ltd. 출자 결정
2018 07
SK증권 지분매각 계약 거래종결
2018 06
기업지배구조보고서(자율공시) 최초공시
2018 05
Brazos Midstream社 지분 투자를 위하여 해외 자회사 (Plutus Capital NY, Inc.) 증자 참여
2018 03
SK바이오팜(주) 중장기 성장 자금조달을 위해 유상증자 참여 결정(1,500억, 15,000,000주)
2018 02
전략적 선택과 집중을 통한 투자 Portfolio조정을 위해 에프에스케이엘앤에스(주)지분 SK텔레콤(주)에 매각 결정(2,415,750주, 180억)
2017 12
Socar Mobility Malaysia SDN BHD 사업운영자금 출자 결정 (약 72억원)
2017 12
모든 주주의 실질적인 의결권 행사 편의성을 제고하고자 전자투표제 도입 및시행 결의
2017 11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재원 확보를 위해 보유중인 에스케이엔카닷컴(주) 지분 전량 매각 결정 (보통주 250,001주, 지분율 50.0002%)
2017 11
SK 바이오텍의 Global 성장 Potential 확보를 위해 유상증자 참여 결정(1,725억, 26,223,777주)
2017 11
계열회사 지배구조 단순화 및 경영효율성 제고를 위해 SK마리타임(주) 흡수합병 결정
2017 09
북미 Gathering & Processing 사업 진입을 위해 Plutus Capital NY, Inc. 증권 취득 (10,362주, 1,172억) 결정
2017 08
SK증권(주)에 대한 보유 지분 처분 결정 및 주식 매매계약 체결(보통주 기준 10.00%, 608억원)
2017 07
ESR Cayman Limited 지분 11.77% 인수(유상증자 참여, 약 U$ 3.3억) 결정 공시
2017 07
해외계열회사인 SK China Company Limited의 유상증자 참여 결정 공시(현금 1,116억, 현물 1,501억으로 총 2,617억)
2017 02
자회사인 에프에스케이엘앤에스(주) 주주배정 유상증자 참여(170억) 결정 공시
2017 01
에스엠코어(주)(SMCore.Inc) 지분 52.2% 취득 (의결권 행사 위임분 포함)
2017 01
(주)LG실트론(LG Siltron Incorporated) 지분 51.0%를 최대주주인 (주)LG로부터 인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예상 취득금액 6,200억)
2016 03
SK바이오텍 설비투자 및 사업확장을 위해 400억원 규모의 (6,462,036주) 유상증자 참여
2016 02
OCI머티리얼즈 지분 49.1% (5,178,535주)를 최대주주인 OCI 주식회사로부터 4,703억원에 인수 및 사명을 SK머티리얼즈로 변경
2016 02
SK바이오팜으로부터 SK바이오텍 지분 100%를 1,238억에 취득하여 SK바이오텍을 자회사로 편입
2015 11
자기주식 취득(취득기간 : 2015년 9월 1일 ~ 2015년 11월 11일 (매매일 기준),취득주식 : 보통주 3,514,276주 / 취득금액 8,996억)
2015 10
IBM과 'Cloud센터 공동 구축계약' 체결
2015 09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월드지수(DJSI World) 4년 연속 편입
2015 08
본점소재지 변경: 서울시 종로구 종로26
2015 08
(舊) SK주식회사 흡수합병 완료, 사명(SK C&C(주) -> SK(주)) 및 본점 소재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343번길 9 -> 서울시 종로구 종로26) 변경
2015 08
SK C&C USA, Inc 지분 일부를 Mozido Inc.에 처분하고 Mozido Inc. 주식 9,732,976 (2.05%)를 수령(처분일자 : 2015년 8월 31일 / 처분금액 : 908억)
2015 06
2014 동반성장지수 평가 '최우수 등급' 획득
2015 04
(舊) SK주식회사와의 합병 결의
2015 04
자기주식 소각 결정(소각일자 : 2015년 4월 27일, 소각주식 : 보통주 6,000,000주)
2015 03
혼하이 그룹과 IT서비스 합작기업(JV) 설립 계약 체결
2014 04
중고차사업부문 에스케이엔카닷컴(주) 분할설립
2005 07
본점소재지 변경: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성남대로 343번길, 9(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25-1)
2000 02
본점소재지 변경: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 5가 267
1998 12
본점소재지 변경: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892포스코센터빌딩 서관 15층
1998 12
상호변경: 에스케이씨앤씨(주)
1994 11
본점소재지 변경: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26
1992 05
상호변경: 대한텔레콤(주)
1991 04
선경텔레콤(주) 회사설립
기업뉴스
SK지오도 투자 재조정…1.8조 플라스틱 공장 손댄다
SK그룹, 사업 리밸런싱 속도내년 3개 공장 건립 계획 수정열분해 공장만 먼저 착공하고PP·PET 공장은 추후 진행투자비 상승·외부환경 악화 탓SK지오센트릭(옛 SK종합화학)이 1조8000억원을 투입해 울산에 짓고 있는 재활용 플라스틱 클러스터(ARC) 건립 속도를 늦추기로 했다. 열분해 공장, 폴리프로필렌(PP) 추출 공장, 페트(PET) 해중합 공장 등 3개를 동시에 지으려던 당초 계획 대신 열분해 공장만 착공하고 나머지는 추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각종 투자 계획을 원점에서 재검토하자’는 SK그룹의 사업 리밸런싱 방침에 따른 것이다. 여기에 인건비 자재비 등 각종 비용이 급격하게 상승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1일 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의 석유화학 자회사인 SK지오센트릭은 ARC에 열분해 방식으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공장만 먼저 짓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함께 지으려던 PP 추출 공장과 PET 해중합 공장은 사업성 검토를 거친 뒤 추후 건설 여부를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SK지오센트릭은 ARC에 합작공장을 짓기로 한 캐나다 루프인더스트리 등 파트너 기업과도 이런 내용을 협의하고 있다.SK지오센트릭은 ARC를 3대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한데 모은 세계 첫 재활용 클러스터로 조성한다는 구상이었다. 하지만 물가와 금리 상승 여파로 각종 투자비가 예상보다 크게 늘어나자 사업성을 재검토하기로 했다. PP 추출과 해중합 공정의 기술 완성도를 끌어올려야 하는 점도 투자 속도 조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SK지오센트릭 경영진은 지난달 30일 직원들과의 타운홀 미팅에서 “대외 경영 환경이 악화한 만큼 기존 사업 계획이 타당한지 면밀하게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SK는 지난해 11월 착공한 ARC를 2025년 말 완공해 2026년부터 상업 생산에 나설 계획이다. SK지오센트릭은 열분해 공장을 계획대로 지어 재활용 플라스틱을 생산하기로 했다. 해당 부지는 토양을 정리하는 ‘터파기’만 완료했다. 투자 재검토가 끝나는 대로 공사를 재개할 계획이다.당초 계획과 달리 한 개 공장만 가동하면 2025년까지 1조8000억원을 투입하려던 투자비는 절반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알려졌다. 32만t으로 잡은 연간 폐플라스틱 재활용 규모도 대폭 축소된다.하지만 SK지오센트릭은 속도를 조절하는 것일 뿐 시장 상황과 자금 여력 등을 감안한 최적의 시점에 당초 계획한 투자를 집행한다는 계획이다. 재활용 플라스틱 사업 전망이 밝다는 이유에서다.회사 관계자는 “유럽연합(EU)이 2030년까지 플라스틱을 제조할 때 재생 원료를 30% 이상 사용하도록 규정한 만큼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은 커질 수밖에 없다”며 “ARC를 짓기도 전에 연간 생산량의 30%를 로레알, 에비앙 등 해외 뷰티·식음료(F&B)·의류 브랜드에 선판매할 정도로 재활용 플라스틱 수요는 충분하다”고 말했다.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5/01
SK스페셜티, 영주시 청년 창업 지원
SK스페셜티가 30일 경북 영주시 청년들의 창업을 돕는 ‘STAXX 파노라마 행사’(사진)를 열었다. STAXX 프로젝트는 영주시의 지방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1년 경상북도, 영주시 등과 함께 시작한 지역 활성화 프로그램이다.ⓒ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5/01
[단독] SK지오센트릭, 1.8兆 재활용 사업 속도조절
열분해 공장 먼저 착공하고PP·PET 공장은 추후 진행합작 파트너社와도 협의 중투자비 상승·외부환경 악화 탓"늦게 진출해도 결국 성장할 것"SK지오센트릭(옛 SK종합화학)이 1조8000억원을 투입해 울산에 짓고 있는 재활용 플라스틱 클러스터(ARC) 건립 속도를 늦추기로 했다. 열분해 공장, 폴리프로필렌(PP) 추출 공장, 페트(PET) 해중합 공장 등 3개를 동시에 지으려던 당초 계획 대신 열분해 공장만 착공하고 나머지는 추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각종 투자계획을 원점에서 재검토하자’는 SK그룹의 ’사업 리밸런싱‘ 방침에 따른 것이다. 여기에 인건비 자재비 등 각종 비용이 급격하게 상승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의 석유화학 자회사인 SK지오센트릭은 ARC에 열분해 방식으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공장만 먼저 짓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함께 지으려던 PP 추출 공장, PET 해중합 공장은 사업성 검토를 거친 뒤 추후 건설 여부를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SK지오센트릭은 ARC에 합작공장을 짓기로 한 캐나다 루프인더스트리, 미국 퓨어사이클테크놀로지, 영국 플라스틱에너지 등 파트너 기업과도 이런 내용을 협의하고 있다.SK지오센트릭은 ARC를 3대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한 데 모은 세계 첫 재활용 클러스터로 만든다는 구상이었다. 하지만 물가와 금리 상승 여파로 각종 투자비가 예상보다 크게 늘어나자 사업성을 재검토하기로 했다. PP 추출, 해중합 공정의 기술 완성도를 끌어올려야 하는 점, 폐플라스틱 수거 과정을 고도화해야 하는 점도 투자속도 조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SK지오센트릭 경영진은 지난달 30일 직원들과 가진 타운홀 미팅에서 “대외 경영 환경이 악화된 만큼 기존 사업계획이 타당한 지 면밀하게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SK는 지난해 11월 착공한 ARC를 2025년 말 완공해 2026년부터 상업 생산에 나설 계획이다. SK지오센트릭은 열분해 공장은 계획대로 지어 재활용 플라스틱을 생산하기로 했다. 해당 부지는 토양을 정리하는 ‘터파기’만 완료한 상태다. 투자 재검토가 끝나는 대로 공사를 재개할 계획이다. 당초 계획과 달리 1개 공장만 가동하면 2025년까지 1조8000억원을 투입하려던 투자비는 절반 이하로 축소될 것으로 알려졌다. 32만t으로 잡은 연간 폐플라스틱 재활용 규모도 대폭 축소된다.하지만 SK지오센트릭은 ’속도 조절‘일 뿐 시장상황과 자금여력 등을 감안한 최적의 시점에 당초 계획한 투자는 집행한다는 계획이다. 재활용 플라스틱 사업 전망이 밝다는 이유에서다. 회사 관계자는 “유럽연합(EU)이 2030년까지 플라스틱을 제조할 때 재생 원료를 30% 이상 사용하도록 규정한만큼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은 커질 수 밖에 없다”며 “ARC를 짓기도 전에 연간 생산량의 30%를 로레알, 에비앙 등 해외 뷰티·식음료(F&B)·의류 브랜드에 선판매할 정도로 재활용 플라스틱 수요는 충분하다”고 말했다.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은 타운홀 미팅에서 “단기적 시황 악화, 투자비 증가로 (투자 계획이) 조금 늦어질 수 있지만 일단 재활용 플라스틱 시장에 진입하면 회사를 성장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5/01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 "AI 반도체 2라운드에선 승리해야"
지난달 경영 현황 설명회에서 강조경계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사장)이 "인공지능(AI) 초기 시장에서는 우리가 승리하지 못했지만 2라운드는 우리가 승리해야 한다"며 "우리가 가진 역량을 잘 집결하면 충분히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주도권을 SK하이닉스에 내준 것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임직원들에게 자신감을 갖고 분발할 것을 촉구한 것이다. 1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경 사장은 지난달 26일 최근 구성원을 대상으로 연 사내 경영 현황 설명회에서 "어려운 환경에서도 함께 노력해준 덕분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15조원에 육박하는 영업적자를 냈던 DS부문은 올 1분기 1조91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5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경 사장은 "2022년 매출을 능가하는 게 우리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2022년 DS부문의 매출은 98조4600억원이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 현황에 대해선 '위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경 사장은 "이익을 내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성장"이라며 "2017년 이후 D램과 낸드,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의 시장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는데 이것은 사업의 큰 위기"라고 말했다.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작년 4분기 파운드리 점유율은 11.3%로, 1위인 TSMC(61.2%)와의 점유율 격차는 49.9%포인트를 나타냈다. 작년 3분기( 45.5%포인트) 대비 격차가 더 벌어진 것이다. 지난해엔 인텔에 반도체 공급사 매출 1위 자리를 내줬고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도 SK하이닉스에 주도권을 뺏겼다. 경 사장은 "성장하지 않는 기업은 생존할 수 없다"며 "작년부터 새로운 기회가 시작되고 있다.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올해 반드시 턴어라운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삼성전자가 맞춤형 AI 반도체의 턴키 공급이 가능한 '유일무이'한 종합 반도체 기업이라는 점은 기회 요인으로 꼽았다. 삼성전자는 메모리와 파운드리 사업을 모두 갖추고 있어 HBM 설계부터 생산, 최첨단 패키징까지 일괄 공급이 가능하다. 경 사장은 "AI를 활용한 기업간거래(B2B) 비즈니스가 이제 곧 현실이 된다"며 "삼성전자가 이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5/01
삼성전자 경계현 "AI 초기 시장은 못했지만…2라운드는 승리해야"
사내 경영현황 설명회"AI로 대변되는 새로운 세상 열려"경계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사장)이 "인공지능(AI) 초기 시장에서는 우리가 승리하지 못했다"며 "2라운드는 우리가 승리해야 한다. 우리가 가진 역량을 잘 집결하면 충분히 할 수 있다"고 말했다.1일 업계에 따르면 경 사장은 최근 구성원을 대상으로 연 사내 경영 현황 설명회에서 "어려운 환경에서도 함께 노력해준 덕분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며 이같이 밝혔다.삼성전자의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6조606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931.87% 증가했다.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12.82% 증가한 71조9156억원으로, 1분기 기준 역대 2번째 매출 기록을 세웠다.특히 AI 시장 확대로 고성능·고용량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작년 연간 15조원에 육박하는 적자를 낸 반도체 사업이 1조91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5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경 사장은 "이대로 나아가 2022년 매출을 능가하는 게 우리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익을 내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성장"이라며 "2017년 이후 D램과 낸드, 파운드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반도체)의 시장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는데 이것은 사업의 큰 위기"라고 말했다.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작년 4분기 파운드리 점유율은 11.3%로, 1위인 TSMC(61.2%)와의 점유율 격차는 작년 3분기 45.5%포인트에서 49.9%포인트로 더 벌어졌다.지난해에는 인텔에 반도체 공급사 매출 1위 자리를 내줬으며,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도 SK하이닉스에 주도권을 뺏겼다.경 사장은 "성장하지 않는 기업은 생존할 수 없다"며 "작년부터 새로운 기회가 시작되고 있다.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올해 반드시 턴어라운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이에 삼성전자는 지난달 HBM 5세대인 HBM3E 8단 제품 양산을 시작한 데 이어 2분기에 업계 최초로 개발한 HBM3E 12단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다. 현재 12단 제품의 샘플을 고객사에 공급 중이다.경 사장은 이와 함께 삼성전자가 맞춤형 AI 반도체의 턴키(일괄생산) 공급이 가능한 '유일무이'한 종합 반도체 기업이라는 점도 강조했다.삼성전자는 메모리와 파운드리 사업을 모두 갖추고 있어 HBM 등의 설계부터 생산, 2.5D 첨단 패키징까지 턴키 공급이 가능하다.경 사장은 "AI를 활용한 기업간거래(B2B) 비즈니스가 이제 곧 현실이 된다"며 "그전에 에너지 소비량은 최소화해야 하고 메모리 용량은 계속 늘어나야 한다. 데이터 처리 속도도 훨씬 효율화돼야 하는데 우리 회사가 이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경 사장은 앞서 지난 3월 20일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메모리 병목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대규모언어모델(LLM)용 AI 칩 '마하-1'을 개발 중인 사실을 공개한 바 있다.삼성전자는 메모리 처리량을 8분의 1로 줄이고 8배의 파워 효율을 갖게 하는 것을 목표로 마하-1을 개발 중이며, 연말부터 이를 양산할 계획이다.경 사장은 "시장 환경이 안정적일 때는 터닝 포인트를 만들기 어렵다"면서 "AI로 대변되는 새로운 세상이 열리기 시작했고 지금이 터닝 포인트를 만들 수 있는 최적의 시기"라고 강조했다.이어 "올해를 새롭게 성장하는 터닝 포인트로 다 같이 만들어 갔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5/01
GS차지비, 5월 한달간 전기차 충전 요금 22% 할인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 기업 GS차지비(대표 신임철)가 가정의 달을 맞아 최대 22% 할인된 가격으로 충전할 수 있는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30일 밝혔다.차지비 회원으로 차지비 모바일 앱 또는 회원카드로 차지비 공용 급속충전기에서 충전 시 자동으로 적용되며, 가족 단위 나들이가 많은 5월 한달 간 진행된다. 요금 할인이 적용되는 급속충전기는 차지비가 운영 중인 BMW, 벤츠 브랜드 충전소를 포함한 모든 공용 급속충전기(50kW 이상)다.GS차지비는 최근 SK브로드밴드 자회사인 홈앤서비스의 전기차 충전사업 인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약 7만기의 전기차 충전기를 운영하고 있다. 상이한 모델의 충전기를 인수해 자사의 플랫폼에 통합하는 기술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이번 홈앤서비스 충전기 1만4000기 인수는 국내 전기차 충전 업계에서는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된다.한편, GS차지비는 환경부에서 주관하는 전기차 충전시설 보조사업에서 8년 연속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 전기차 충전시설 보조사업은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환경부에서 2017년부터 공용 전기차 충전시설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이다.신임철 대표는 “이번 홈앤서비스 충전사업 인수를 통해 ‘충전, 그 이상의 연결’이라는 비전 실현에 한걸음 더 다가가게 되었다”고 밝혔다. 신대표는 “인수 과정에서 차지비를 성원해주신 고객분들께 감사한 마음을 담아, 황금 연휴로 전기차 이동이 많은 5월 한달 간 차지비 급속충전기 요금 할인 이벤트를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바탕으로 전기차 충전 편의성 제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이벤트에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차지비 모바일 앱 및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4/04/30
복리후생
평균연봉
4,649 만원
신규사원 평균연봉 (기준년월 2022.08)
6,638 만원
평균연봉 (기준년월 2022.08)
재무정보 및 상시근로자
매출액(2023.12 기준)
4조 1,370억 3,000만
(기준년월 2023.12)
22.77%
(작년대비)
영업이익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빼고 얻은 총 이익 중에서 일반 관리비와
판매비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순수하게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을 말합니다.

(2023.12 기준)
1조 5,504억 6,100만
(기준년월 2023.12)
39.85%
(작년대비)
당기순이익

일정 기간에 발생한 순이익을 말합니다.
순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 판매비, 관리비 등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2023.12 기준)
3,629억 7,400만
(기준년월 2023.12)
-33.33%
(작년대비)
사원수 (2001.12 기준)
1428명
(2001년 사원수)
27.96%
(작년대비)
기업위치
(03188) 서울 종로구 종로 26
많이 본 기업
1 / 6
한국사회보장정보원
보건복지분야사업,정보시스템 통합운영,관리
17년차 636명
평균연봉 4,329만원 채용중 0건 >
신한라이프생명보험(주)
생명보험,금융보험
36년차 1,497명
평균연봉 6,084만원 채용중 4건 >
(주)멀티캠퍼스
인터넷 위탁교육(기업교육,외국어교육,평가 등),컨텐츠 제공,소프트웨어 개발,시스템구축,판매
26년차 913명
평균연봉 6,014만원 채용중 11건 >
대한상공회의소
출판,광고/공제,소프트웨어,위탁교육훈련,유통정보 용역,사업 지원
49년차 200명
평균연봉 5,372만원 채용중 0건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 심사,평가,심사,평가기준개발,건강보험 조사연구,국제협력
26년차 2,494명
평균연봉 6,587만원 채용중 0건 >
(재)우체국물류지원단
우편물 송달/화물운송 대행/국제물류 주선,우정사업 연구개발
46년차 1,484명
평균연봉 4,888만원 채용중 0건 >
(사)한국플랜트산업협회
연구용역
1년차
평균연봉 5,463만원 채용중 1건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학술,기술 연구용역,소프트웨어 개발,공급/전자상거래/부동산 임대/기술 시험,검사,분석
60년차 719명
평균연봉 8,741만원 채용중 0건 >
(주)스카우트
취업정보제공/온라인정보제공,서적 출판,전산프로그램 개발,제조,판매/전기전자부품 제조/전자상거래/기관구내식당/전산센터운용(핸드폰개통에관한)
28년차 476명
평균연봉 3,040만원 채용중 4건 >
하남도시공사
토지,부동산(주거용,비주거용) 개발,임대,매매,분양,관광지조성/아파트건설
1년차 40명
평균연봉 5,172만원 채용중 2건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주)
타이어 제조
14년차 6,441명
평균연봉 5,646만원 채용중 30건 >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유)
택배
8년차 2,312명
평균연봉 3,857만원 채용중 7건 >
(주)컬리
전자상거래(식품,소비재,뷰티)
12년차 2,655명
평균연봉 3,206만원 채용중 0건 >
충남대학교병원
종합병원/의학 교육,연구
31년차 4,615명
평균연봉 7,046만원 채용중 1건 >
(재)충남테크노파크
재단/연구용역 대행,장비 임대,교육/부동산 임대,분양(매매)
1년차 112명
평균연봉 6,836만원 채용중 0건 >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융,복합기술 연구개발,공공인프라
50년차 658명
평균연봉 8,304만원 채용중 0건 >
대구교통공사
도시철도 운송/철도궤도공사/부동산 임대/광고 대행
31년차 2,391명
평균연봉 6,002만원 채용중 0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