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GS칼텍스 현장조사…오너 회사와 내부거래 의심
오너 일가가 지분 90% 보유한삼양인터내셔날에 '통행세' 정황공정거래위원회가 GS그룹 오너 일가 소유의 삼양인터내셔날과 GS칼텍스 간 부당내부거래 의혹에 대해 현장조사에 나선 것으로 13일 확인됐다. 공정위는 GS칼텍스가 해외 거래처와 직접 계약할 수 있는데도 삼양인터내셔날을 중간에 끼워넣어 일종의 ‘통행세’를 주는 방식으로 내부거래를 했는지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공정위는 지난 11일부터 사흘간 GS칼텍스 본사에 현장조사를 나가 삼양인터내셔날과의 거래 자료 등을 확보했다. 삼양인터내셔날은 GS그룹 오너 일가가 지분 90%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GS그룹 4세 경영인인 허준홍 삼양통상 사장이 37.3%, 허서홍 GS 부사장이 33.3%,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이 11.2%를 소유하고 있다. 3세 경영인인 허광수 삼양인터내셔날 회장은 6%, 허세홍 사장 부친인 허동수 GS칼텍스 명예회장은 4.7%를 보유 중이다. 삼양인터내셔날은 윤활유, 건자재 판매사업 등을 하고 있고, 지난해 3060억원의 매출에 292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공정위는 GS칼텍스가 삼양인터내셔날에 불필요한 ‘통행세’를 지급했는지 조사 중이다. 삼양인터내셔날은 지난해 GS칼텍스와 GS칼텍스 싱가포르·중국 법인으로부터 9960억원어치의 상품을 매입해 중개거래에 나섰다. 2021년의 6863억원보다는 매입 규모가 45.1%, 2020년 3648억원보다는 3배 가까이 늘었다. 이를 바탕으로 삼양인터내셔날은 2020년 120억원, 2021년 150억원, 지난해 100억원을 배당했다. 지분구조상 배당금은 대부분 오너 일가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공정거래법은 특수관계인 지분이 20% 이상인 국내 계열사를 대상으로 △회사가 직접 수행할 경우 상당한 이익이 될 사업 기회를 제공하는 행위 △다른 사업자와의 비교 없이 상당한 규모로 거래하는 행위 등을 금지하고 있다. 공정위 관계자는 “조사 중인 사안에 구체적으로 언급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GS칼텍스 측은 “조사에 성실히 임할 것”이라고만 밝혔다.박한신/김형규 기자 phs@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3/10/13
'이직 미끼 영업비밀 탈취' 삼양인터내셔날 임원 징역 8개월
삼양인터 임원, "이직 보장해주겠다"며전직 세스코 직원 통해 고객 목록 등 빼내法 "죄질 좋지 않아... 법정구속"이직을 빌미로 경쟁사인 세스코의 영업비밀을 빼낸 혐의를 받은 GS그룹의 계열사 삼양인터내셔날의 임원이 1심 재판에서 실형을 선고받았다.18일 서울중앙지법 형사23단독 양진호 판사는 영업비밀 누설 혐의(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관한법률 위반)를 받는 삼양인터내셔날 임원 A씨에게 징역 8개월을 선고했다. 양 판사는 "A씨는 영업비밀이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유출된 자료는 모두 법에서 정한 영업비밀"이라며 "영업비밀의 가치를 폄하하고 경쟁사 팀장으로서 이를 영업에 실제로 사용한 만큼 죄질이 좋지 않다"고 밝혔다.함께 기소된 전직 세스코 직원 B씨는 이날 징역 1년과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양 판사는 "범행을 모두 인정했고 자료 누설 외에는 영업 비밀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삼양인터내셔날 법인에는 벌금 3000만원이 선고됐다.삼양인터내셔날에서 방역사업을 총괄하던 A씨는 세스코에서 근무하던 B씨에게 "삼양인터내셔날 이직을 보장해주겠다"며 세스코의 내부 자료를 빼낸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B씨는 A씨에게 2021년 1월 퇴직을 전후로 세스코 고객의 마스터 데이터와 해약 고객 목록 등 다수의 영업비밀 자료를 넘겼다. A씨는 이렇게 받은 자료를 회사 내부에 공유해 영업에 활용했다.세스코는 같은 해 B씨를 경찰에 고발했고 검찰은 작년 A·B씨를 영업비밀 누설 혐의로 불구속기소했다. 검찰은 앞선 결심 공판에서 A씨에게 징역 2년, B씨에게 징역 1년 2개월을 구형했다.A씨는 선고 직후 도주의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법정구속됐다. A씨는 선고 직후 "영업비밀이라고 인지하지 못했고 제가 가지고 오라 한 적도 없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GS그룹의 계열사 중 하나인 삼양인터내셔날은 2015년부터 환경사업 브랜드 휴엔케어를 설립하며 방역 사업으로의 영역 확장에 나섰다. 세스코는 국내 1위의 해충 방역 업체다.박시온 기자 ushire908@hankyung.comⓒ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 2023/08/18